PC에서 한패하고 통으로 스팀덱에 덮어씌우면 된다는 말이 많은데

볼때마다 너무 답답한 방법이라서 속 터짐

게다가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선 통짜로 붙인다고 다 되는것도 아님

한패는 작동이 안되는 이유를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일단, 스팀정품 게임들을 SSD에 설치했을 경우, 아래의 경로에 설치됨

/home/deck/.local/share/Steam/steamapps/common/

덮어씌우기 패치나, 설치형 패치에서 경로를 찾으실때 참고하셈



0. 한국어, 일본어 로케일은 무조건 깔아두면 좋음

로케일이란? 게임이 인식하는 언어를 결정하는 설정값 같은거임


데스크탑 모드 Updates -> Up to date에 들어와서

Refresh 누르시고 업데이트 목록 뜨는거를 전부 업데이트

그 다음에

데탑모드 환경설정에서 언어설정(Language)이 이렇게 한국어로 보일거임

한국어를 일본어로 바꾼 후 재부팅


다시 데탑모드 업데이트 들어와서 Refresh 누르시고 목록 뜨는걸 전부 업뎃한 후

언어설정에서 한국어로 바꾸고 재부팅하면 끝남

이렇게 해주면 님 스팀덱은 이제,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다 쓸 수 있음




이제부터 아래에 써놓은 것들을 순서대로 체크하면 됨

안되면 다음 번호로 넘어가는 방식임!


<덮어씌우기 패치 등, 일반적인 문제>


1. 게임 폴더에 winhttp.dll이나 dinput8.dll, version.dll이 있는지 찾아봄

얘들이 자주 쓰이는 한패 로딩 파일임


해당 파일이 존재할 경우, 이름에 맞춰서 이걸 게임시작 옵션에 써넣는다.

HOST_LC_ALL=ko_KR.UTF-8 WINEDLLOVERRIDES="winhttp=n,b" %command%

HOST_LC_ALL=ko_KR.UTF-8 WINEDLLOVERRIDES="dinput8=n,b" %command%

HOST_LC_ALL=ko_KR.UTF-8 WINEDLLOVERRIDES="version=n,b" %command%


대충 부연설명을 하자면

HOST_LC_ALL=ko_KR.UTF-8 는 게임을 실행할때 한국어를 쓰겠다는 뜻이다

HOST_LC_ALL=ja_JP.UTF-8 를 적으면 실행할때 일본어를 사용하게 된다


WINEDLLOVERRIDES="******=n,b" 는 해당 dll을 로딩하겠다는 뜻임

도나도나 같은건 한국어 로케일은 쓰지만 dll을 쓰는 패치는 아니기에

HOST_LC_ALL=ko_KR.UTF-8 %command% 이런식으로만 작성하면 된다


2. 위의 두 dll이 없거나 저거 해도 안된다면 데스크탑 모드에서

해당 게임의 호환성을 체크해봐야한다

예를 들어서 아웃라스트1을 보면

NATIVE(리눅스 자체 구동)이라고 되어있고

밑에 펭귄그림(리눅스 버전을 지원함)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 프로톤으로 게임을 다운받으면

리눅스 버전으로 깔려서 윈도우용으로 제작된 한글패치가 당연히 안 먹힘


GE 프로톤으로 바꾸면 리눅스판으로 깔리던게

윈도우판으로 게임이 다시 깔리면서 윈도우용으로 제작된 한패도 먹히게 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ProtonUp-Qt를 설치하고 GE 프로톤 최신버전을 깔아주자


해당 최신 프로톤으로 실행한다



3. 또 안된다? 이렇게 되면 해당 스팀게임과 한패가 버전이 안 맞는 확률이 높다


*예시*

언더테일은 최신버전이 아니라 구형버전(101)에서만 한패됨

핫라인 마이애미2, 히트맨 앱솔루트도 그러함

쉐도우 워리어1 같은 경우도 프로톤 버전 바꾸면

윈도우xp용으로 실행할건지 물어보는데 xp용에서만 한패가 돌아감

하여튼 버전 찾아내는 방법은 해당 게임 속성 들어가서 '베타'에 있거나 실행 옵션에 있음


다만 이와 같은 경우는, 보통 한패를 업로드한 번역자가

해당 블로그나 웹페이지에 해당사항을 이미 써놨거나

다른 사람들이 댓글로 해결방법을 적어놨을 확률이 높다



<설치형 패치>


1. exe형태의 설치파일을 통해 한글패치를 하는 경우에는

설치파일을 비스팀 게임으로 등록하고

해당 설치 프로그램의 프로톤 버전을 GE-Proton으로,

안된다면 Proton Experimental로 바꿔주고 실행하면 됨


2. 설치하려는데 게임의 경로가 안 보이는 경우에는

디스커버리에서 '숨김파일 보기'를 켜고 steamapps까지 들어가서 common 폴더를 바로가기 만들면 됨


걍 컨트롤+쉬프트+드래그로 쉽게 만들어짐



3. 설치버튼이 활성화가 안되는 경우

경로를 찾아줬을때 마지막 폴더가 중복으로 써져있어서 그런 경우가 많다

뒤에 중복되는걸 지우면 버튼이 활성화된다


*예시*

z:/어쩌구 저쩌구/bioshock2/bioshock2

에서 마지막에 중복되는 bioshock2 를 지워주면 된다



-끝-


Dust:먼지 / LA르와르 / 타이탄폴2 

얘들빼곤 웬만해선 전부 가능할거임

안되는거 있으면 이름 좀



24.01.06 -> 로케일 설치법 최신방식으로 바꿈

24.04.03 -> 내용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