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저는 심야식당 번역탭 기준으로 야겜 600개정도 구동테스트 해봤습니다

이걸로 다른 게임들도 웬만한건 싹 다 구동될거임

간단하게 원리 설명도 할테니, 루트리스 모르시는 분들도 따라하기 쉬울거에요


루트리스 안 쓸건데요? -> 뒤로가기 누르시면 됨



<1. 루트리스를 다운받는다>


<2. 로케일 설치가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기>

로케일이란? 게임이 인식하는 언어를 결정하는 설정값 같은거임

최근에 루트리스가 업데이트되서 이젠 로케일 따로 설치 안해줘도 된다고 함

하지만 잘 깔려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루트리스를 켜고


왼쪽줄에 'Wine' 옆에 있는 톱니바퀴(configure)를 클릭


시스템 옵션탭으로 오셔서 맨 아랫줄로 내리고, Locale을 클릭

 Japanese를 선택할 수 있다면 정상


근데 보통은 한국어를 쓰니까 바로 Korean으로 바꿔주시고 Save

이제 루트리스를 통해서 게임을 구동하면 한국어 윈도우로 게임을 켰다고 인식 합니다



<3. 루트리스 환경조성하기>

와인 옆에 슬레이트 그림을 클릭


맨위에 wine-ge-x-xx (최신버전)으로 다운받으시면 됨


참고로 저기 View xxx games 라고 밑줄 그어진거 클릭하면

님이 추가한 게임들을 과거순으로 보여줌

게임을 저처럼 졸라 많이 깔아서 '이건 내가 깔았나? 이건 내가 안깔았나?'

헤맬때 단비같은 기능이니까 기억해두시는거 추천드림


방금 위에서 설치한 이게 스팀OS에서 쓰는 프로톤과 똑같은거라고 보시면 됨

굳이 루트리스까지 오셔서 프로톤QT꺼 프로톤GE쓰시는 분들도 있으신데

그냥 이게 루트리스에선 호환성 씹압살이니까 이걸 쓰시는거 추천

프로톤QT는 스팀 정품게임에서만!


다시 톱니바퀴


Wine 받으신걸 골라주시고 사진과 같이 맞춰주시면 됩니다


FSR 이거는 어차피 스팀에서 따로 제공하니까 꺼야함

기본설정인지라 그냥 켜놨더니 버그 생기는 게임도 있었기에

백해무익이라고 판단되어 그냥 꺼놓는걸 강력추천함


여기까지 설정하셨으면 이제 님이 등록할 게임들은

전부 한국어 로케일에, 와인GE최신버전으로 자동으로 인식하고 구동될 겁니다



<4. 이지트랜스, 반디집, RTP 깔기>

이지트랜스 -> 이거 없이 야겜을 돌리겠다...?

반디집 ->  이거 안쓰고 압축풀면 야겜들 박살남

RTP -> VX Ace, VX만 다운 -> 쯔꾸르 형태의 야겜들 돌리려면 필요한거임

에뮬로 따지면 바이오스랑 똑같은거라고 생각하시면 됨

VX Ace는 게임 실행 아이콘이 용대가리, VX는 유니콘 대가리임

XP는 이제 구경하기도 힘든 구형 쯔꾸르라서 안 깔아도 되고,

나머지는 따로 뭐 안깔아줘도 알아서 구동가능


다 다운받으면 설치할게 4개가 뜰거임


이지트랜스부터 깔아봅시다

루트리스 최좌상단의 십자가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잘 모르겠으면 마지막꺼 고르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하다보면 알게됨


이름 넣고, Runner를 Wine으로 바꿔주기


첫번째 줄에서 이지트랜스 설치파일을 클릭

2, 3줄은 루트리스 쓰실거면 몰라도 되는 기능이고


+++4번째 줄에는 3.5로 건너오게 되면서 새로 해줘야 하는게 생겼음+++

/home/deck/.wine <- 작성


세이브 누르시면 루트리스 라이브러리에


이지트랜스 '설치'가 생겼을거고 더블클릭해서 설치를 합니다

설치는 알아서 하시면 됨


설치되는 곳은 아래와 같습니다

/home/deck/.wine/drive_c/Program Files (x86)/ChangShinSoft/ezTrans XP/ezTrans.exe

.wine폴더에 대해서 중요한 설명!!!


.wine이 안보이는 뎁쇼?

폴더 앞에 온점 있으면 숨김처리됨

작대기 3개 아이콘 누르시면 숨김처리 폴더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있음


이 놈 원래 설치할려고 썼던 놈이잖아요, 이지트랜스 실행용으로 바꿉시다

우클릭 -> Game options -> Executable -> Browse


/home/deck/.wine/drive_c/Program Files (x86)/ChangShinSoft/ezTrans XP/ezTrans.exe

이게 경로일겁니다. 설정 및 실행 한번하고 꺼주시고

꿀도르 받은거랑 크랙 받으신거 알아서 붙여 넣으시면 이지트랜스는 설치 끝


반디집이나 기타등등도 똑같음. 꿀팁이 있다면

이거 쓰면 좀 더 간편하게 exe종류 실행가능함

겜 추가하기 직전에 구동 테스트용으로도 쓸만하겠죠?


대신에 이걸로 설치가 끝난 반디집은

이 마지막껄로 .wine폴더를 뒤져서 따로 실행버튼 만들어야 쓸 수 있겠죠?

그리고 RTP 2개는 실행하는거 없음. 그냥 구성요소임. 따로 실행버튼 안 만들어줘도 됨


<5. 폰트 설치, dll설치>

이지트랜스랑 반디집 깔때 한글 막 깨지는거 보셨을텐데

그런거 다 해결해주기 위해 폰트를 깝시다

기존에 알려진 폰트설치 방법은 땜빵을 매꾸는 정도였지만

여기서는 진짜로 문제 자체를 해결하는 방법 입니다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7.0/dist/share/fonts/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7.0/dist/share/wine/fonts/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8.0/dist/share/fonts/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8.0/dist/share/wine/fonts/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 Experimental/files/share/fonts/

/home/deck/steam/steamapps/common/Proton - Experimental/files/share/wine/fonts/

SD카드가 아닌, 내부저장장치에 프로톤7,8,익스퍼리먼탈을 깔으셨으면

위의 6경로에 폰트들이 와글와글 있을겁니다


여기 있는거 7->8->Exp순서대로

.wine -> drive_c -> windows -> Fonts 다 덮어 씌위시면 됩니다

폰트 없어서 속터질 일은 없어질거임


그리고 뭐 추가로 폰트 설치하라고 어쩌구 있는 게임들도

여기에 폰트파일을 쏘옥 넣으시면 설치된걸로 판정 뜹니다


추가로 필요하시다면 Winetricks -> select the default wineprefix -> Install a font

여기에 들어가셔서 까시면 되는데, 딱히 추가할건 없을거임

폰트 설치는 여기서 끝


DLL설치

Winetricks -> select the default wineprefix -> Install a Windows DLL or component


winhttp.dll

-> 실시간 번역기나, 번역기 돌려놓은 게임들에 필요합니다

이거 안 깔면 걍 번역기 게임들 플레이 못한다고 생각하시면 됨

루트리스를 쓰는 핵심 이유니까 무조건 반드시 까세요


xinput.dll

-> 게임패드 인식이 안되는 게임들을  게임패드 인식시켜줌

그리고 혹시나 해서 추가로 다는 글인데, 데스크탑 모드에서는 우측 스틱 위에 버튼 오래 누르면

게임패드 모드랑 데스크탑 모드 전환가능함


이제 무조건 필수로 깔아야하는 DLL은 저거 2개 뿐임

나머지 뭐 이것저것 다깔아야 한다? -> 절대 아님

대부분 써먹을 수 있는 DLL은 루트리스에서 제공하는 wine-ge에 내장되어 있어서

굳이 이것저것 깔겠다고 하면 버그만 늘어나거나 꼬여서 망함


깔았는데 게임패드 안되는뎁쇼?

1. 우측 스틱 위에 버튼을 꾹눌러서 게임패드 모드로 바꿔보셨나요? (데탑모드 한정)

2.  Wine configuration -> 라이브러리 -> xinput관련 4개 전부 내장으로 변경


이제 야겜구동을 위한 환경을 전부 조성했음

님이 만든 .wine폴더는 이제 야겜들과 각종 게임들을 구동하기 위한

최적의 한방팩 Wineprefix 으로 탈바꿈 되었음


당장 어디 복사해놓고 백업해두시는거 추천함

뭐 날아가도 이거랑 게임 모아놓은 폴더만 살아있으면 되는거니까요



+++ 에러방지와 빠른세팅을 위하여  .wine 통팩버전을 만들었습니다 +++

<4. ~ 5.> 까지의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록 내용물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반드시 눈으로 읽기라도 해서

대강 원리정도는 파악하셔야 에러가 발생해도 대처가 되기에 일부러 마지막에 썼습니다

에러뜨지 말라고 통팩까지 만들어서 배포했는데도

에러가 발생하면 이 가이드글과 해당 통팩글에 해결법 다 있습니다

해결법과 문제해결을 위해 올라온 댓글들을 다 읽어봐도 모르시겠다면 질문 바랍니다



<6. 게임 등록하기>

마지막꺼


이름 설정해주고, 러너는 와인으로 설정


게임 경로를 작성

Wine prefix는 위에서 한번 작성해줬으면 게임추가할때 더 이상 작성 안해도 됨


우리가 설정한거 자동으로 등록 잘된거 확인


로케일도 한국으로 잘 되어있는지 확인


보통은 구동 잘될거임



<7. 게임 안되는거 대처방안>

1. 게임경로 문제

/home/deck/Games/hentai/Games/imouto monochrome/

이런식으로 경로에서 한글과 특수문자를 완전히 빼버린다


2. 압축이 풀리면서 로케일 문제로 파일이 터진 경우 (7z이 자주 이럼)

우리가 설치한 반디집으로 풀어보아요


3. 한국어 로케일로 구동되지 않는 한글패치판 일본 야겜들은

일본어 로케일로 구동하면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어 로케일이 필요하다면 해당 게임의 설정에 들어가셔서 

Japanese를 선택하고 세이브하셔서 플레이하면 됩니다


4. 번역기가 기반이 winhttp.dll가 아닌 경우

해당 게임 폴더 내부에 들어가서 dinput8.dll이나 version.dll이 있는지를 확인

Runner options 탭에 들어와서 이렇게 이름에 맞춰서 작성해주면 됨


5. 스팀의 프로톤 익스퍼리멘탈로만 구동되기도 하는 경우

해당 게임의 와인을 프로톤 익스퍼리멘탈로 바꿔주면 됨


6. 요몽원 같은 키리키리 엔진 게임들이 잘 안돼요.

이 글 말고 여기를 통해서 해결 가능



<8. 스팀에 숏컷 등록하기>

1. 해당 게임 우클릭하고 Create steam shortcut

2. 스팀 클라이언트를 종료하고 다시 켜면 등록되어 있음

3. 참고로 Deckyloader의 steamgridDB는 게이밍모드로 굳이 전환하지 않아도

데탑모드의 스팀 클라이언트에서 빅픽쳐 모드를 켜도 설정할 수 있다



<9. 끝!>

이런거는 여러 사람들의 정보가 필요함

구동이 원활하면 '감사합니다'는 바라지도 않음...

'잘되네여' 정도는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23.11.20. -> 3.5.x 대응 수정

24.01.02 -> 로케일 관련해서 내용추가 요청 반영

24.01.06 -> 전반적으로 최신화 시키고 통팩관련 설명 추가

24.01.17 -> 루트리스 업뎃으로 인한 수정과 표현 일부 수정

24.01.18 -> wine과 wineprefix에 대한 설명을 외부링크로 대체, 문서 전체적으로 보완

24.03.28 -> 키리키리 엔진 내용 추가

24.04.03 -> Wine prefix 관련 내용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