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술 채널 군사용어사전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한글
2.1. ㄱ2.2. ㄴ2.3. ㄷ2.4. ㄹ2.5. ㅁ2.6. ㅂ2.7. ㅅ2.8. ㅇ2.9. ㅈ2.10. ㅊ2.11. ㅋ2.12. ㅌ2.13. ㅍ2.14. ㅎ
3. 영문
3.1. A3.2. B3.3. C3.4. D3.5. E3.6. F3.7. G3.8. H3.9. I3.10. J3.11. K3.12. L3.13. M3.14. N3.15. O3.16. P3.17. Q3.18. R3.19. S3.20. T3.21. U3.22. V3.23. X3.24. Y3.25. Z
4. 서식

1. 개요 [편집]

전술 채널 내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군사용어와 약어를 정리하는 사전입니다. 국어사전 상 정의를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어는 작성하지 않습니다. 새로운 용어를 문서 내에 작성할 경우 최하단 서식에 맞추어 가나다순/알파벳순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이 페이지에는 용어의 간략한 정의와 설명 위주로 작성하며, 자세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 해당 용어를 표제어로 하는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문서를 생성한 경우 이 문서에 링크를 명기해야 합니다. 작성 내용이 교리문헌을 바탕으로 한 경우 해당 교리문헌 번호, 명칭, 발행연도를 명시하기를 권장합니다.

2. 한글 [편집]

2.1. [편집]

2.2. [편집]

2.3. [편집]

2.4. [편집]

락드릴(rock drill)
작전계획 시행이나 과업에 대한 조치를 숙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형을 이용한 전술토의. 사판, 지도, 컴퓨터 등을 이용해 묘사한 작전환경에 피아 부대를 배치하고 아군 행동과 적 대응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록드릴(ROC drill) 참조점

록드릴(ROC Drill: Rehearsal of Concept Drill)
작전계획예행연습. 대부대 지휘통제본부에서, 작전(연습, 훈련) 이전에 구성요원 또는 상하급 제대 간 개념을 공유하고 노력을 통합하며 작전수행 절차를 검증하고 마찰요소를 식별하여 조치하기 위한 토의식 훈련의 방법이다. 한국군에서 제시하는 대상 제대는 각군 본부, 합참 등이지만 군단, 사단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2.5. [편집]

2.6. [편집]

방책(方策, course of action)
부대에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채택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계획.

2.7. [편집]

2.8. [편집]

임무변수(任務變數, mission variables)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범주. 임무변수의 목적은 임무가 부여되었을 때 지휘관(지휘자)이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일련의 정보 범주를 제공하는 것이다.(=전술적 고려요소)

임무필수과업목록(任務必須課業目錄, Mission Essential Task List)
=METL. 편제상 임무, 작전계획, 상급부대 지휘관 지침 등을 고려하여 필수적으로 훈련해야 할 부대훈련과업을 모은 목록.육군의 경우 이는 표준화된 육군일반과업목록(AUTL, Army Universal Task List)을 바탕으로 작성된다.

2.9. [편집]

작전변수(作戰變數, operational variables)
작전변수는 작전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괄적인 정보 범주의 집합이다. 이러한 범주는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정보, 인프라, 물리적 환경, 시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어느 PMESII-PT이다.(=작전적 고려요소)

작전한계점(作戰限界點, Culminating point)
부대가 더이상 작전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고갈되는 시점.공격작전에 한정하면 '공세종말점'이라고도 한다.


전술(戰術, tactics)
1. 상호 관련된 부대 또는 전투력의 정돈된 배열과 운용
2. 전투력의 운용, 또는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전투력을 조직하고 운용하는 과학과 술[1]

전술임무과업(戰術任務課業, tactical mission task)
부대가 임무완수를 위해 수행하는 특정 과업으로 예하부대에 과업을 부여하거나 부대 임무를 진술할 때 사용하며 우군부대에 의한 행동과 적에게 미치는 효과로 구분된다. 전술적 과업(tactical task)를 대체함.

진지(陣地, position)
전투를 위해 장비 및 시설과 같은 준비를 갖추고 부대(개인)을 배치하거나 점령한 지역. 근접전투를 통해 특정 지역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전투진지와 그렇지 않은 일반진지로 구분되며, 전투진지는 적 예상접근로와의 관계에 따라 주진지(primary), 예비진지(alternative), 보조진지(supplementary), 차후진지(subsequent)로 구분됨.

2.10. [편집]

2.11. [편집]

2.12. [편집]

2.13. [편집]

2.14. [편집]

3. 영문 [편집]

3.1. A [편집]

ADDRAC
Alert, Direction, Description, Range, Assignment, Control. (최초) 사격명령의 구성요소인 경고, 방향, 표적설명, 사거리, 사격방법, 통제방법

3.2. B [편집]

BOF
Base Of Fire. 화력기반. 대응하는 한국어 군사용어 없음

BDA
Battle Damage Assessment
적이 입은 피해에 대한 평가보고서

3.3. C [편집]

CA
Combat Arms. 전투병과.

CALFEX
Combined Arms Live Fire Exercise. 제병협동실사격훈련.

CASEVAC
Casualty Evacuation. 사상자 후송.

CBRN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화생방.

CS
Combat Support. 전투지원병과.

CSS
Combat Service Support. 전투근무지원.

COA
Course of Action. 방책

CCDR
Combatant CommanDeR.

CCIR
Commander's Critical Information Requirements. 지휘관 중요정보요구. 지휘관이 결심을 내리기 위하여 요하는 정보 및 증거.[2] 우군정보요구(FFIR, Friendly Force Information Requirements)와 우선정보요구(PIR, Priority Intelligence Requirements)로 구성된다.

3.4. D [편집]

3.5. E [편집]

3.6. F [편집]

FPF
Final Protective Fire. 최후방어사격[3]

FPL
Final Protective Line. 최후저지선

3.7. G [편집]

3.8. H [편집]

3.9. I [편집]

IBOF
Internal Base Of Fire

IDF
Indirect Fire. 간접사격

3.10. J [편집]

3.11. K [편집]

3.12. L [편집]

LOC
Line of Communication. 병참선. 통신선이 아님에 유의.

3.13. M [편집]

METL
Mission Essential Task List. 임무필수과업목록


MDCOA
(enemy) Most Dangerous Course of Action. 가장 위험한 적 방책. 주로 전장정보분석 시 적 방책 구상을 통해 선정한, 적이 적용할 때 우리 부대가 임무를 실패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책. * MLCOA 참조

MDMP
Military Decision Making Process. 작전계획수립과정(과거에는 군사적 결심수립절차, 전술적 계획수립절차 따위로 번역해 사용했다.)

MLCOA
(enemy) Most Likely Course of Action. 가장 가능성 있는 적 방책. 주로 전장정보분석 시 적 방책 구상을 통해 선정한, 적이 적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책. * MDCOA 참조

3.14. N [편집]

3.15. O [편집]

OKOCA
Observation, Key terrain, Obstacles, Cover and concealment, Avenues of approach. 지형평가 5대 요소인 관측과 사계, 주요지형지물, 장애물, 은폐와 엄폐, 접근로

ORP
Objective Rally Point

OSL
Overhead Safety Limit. (초과사격 시의) 안전한계선

3.16. P [편집]

PDF
1. Protective Defensive Fires. 최후방어사격, 최방사
2. Principal Direction of Fire. 주사격방향.

PLD
Probable Line of Deployment

PACE
PACE Plan. Primary, Alternate, Contingency, Emergency. 주요, 부가, 우발, 긴급 (통신 수단). 미 육군 용어로, 부대의 작전 중 통신 계획을 의미함. 무전 주파수 계획이 아닌, 통신 수단 자체를 의미함. PACE Plan의 예시로서 Radio, Hand Signal, VS-17, Runner를 들자면, 기본적으로 무전을 사용하되, 무전이 원활하지 않을 시 수신호를 사용, 이 또한 원만하지 않다면 VS-17 패널을 통해 통신, 최후의 통신 수단으로는 전령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17. Q [편집]

3.18. R [편집]

3.19. S [편집]

SBF
Support By Fire. (전술임무과업으로써의) 화력지원, 화력에 의한 지원

SOSRA
Suppress, obscure, secure, reduce, and assault. (미 육군 장애물 돌파절차) 제압, 은폐, 확보, 제거, 돌파.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표준운용절차.

SSE
Sensitive Site Exploitation: collecting information, material, and persons from a designated location and analyzing them to answer information requirements, facilitate subsequent operations, or support criminal prosecution.
민감 현장 조사[i1]: 지정된 현장에서 정보요청, 후속 작전, 또는 형사수사를 위해 정보, 자료 및 인원을 모아 분석하는 행위 및 작전.

3.20. T [편집]

TLP
Troop Leading Procedures. (소)부대지휘절차

TRP
Target Reference Point. 표적 참고점(참조점)

3.21. U [편집]

3.22. V [편집]

3.23. X [편집]

3.24. Y [편집]

3.25. Z [편집]

4. 서식 [편집]

전술(戰術, tactics)[ℹ️1]
1. 상호 관련된 부대 또는 전투력의 정돈된 배열과 운용
2.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전투럭을 조직하고 운용하는 과학과 술[ℹ️2]

FPL
Final Protective Line. 최후저지선[ℹ️3]

아래의 서식을 복사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전술'''(戰術, tactics)}}}
1. 상호 관련된 부대 또는 전투력의 정돈된 배열과 운용
2.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전투럭을 조직하고 운용하는 과학과 술

{{{+1 '''FPL'''}}}
Final Protective Line. 최후저지선
[1] 2022년 이전 한국군의 정의[2] Information requirement identified by the commander as being critical to facilitating timely decision making.[3] 단, 한국군은 최후방어사격의 영문으로 final defensive fire를 제시한다.[i1] 역주: exploit에 정확히 대응하는 단어가 없음. 문맥에서 "이용"과 "수사/조사" 그 사이 어딘가의 뜻.[ℹ️1] 1포인트 크게, 표제어는 굵게[ℹ️2] 한 용어의 뜻이 두 가지 이상일 경우 1.과 같이 번호를 매겨 작성할 수 있음.[ℹ️3] 영문 약어는 원어와 원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군사용어를 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