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으리'의 이두 표기는 進賜(진사)


보통 앞의 進은 나아가다(進)의 15세기 한국어 나ᇫ다(nǎz-)로 잘 잇던데 뒤의 賜는 '리'와 억지로 연관 시키려 심지어 파자하는 등의 무리수를 보이더라고


nǎz-은 악센트만 보더라도 *nasó- LH에서 단음절 어간이 된 것이니 進을 *na에, 賜를 *só (< *sɛ)에 상정해야 함. 즉 어간을 말음첨기한 것


賜는 '시'로 읽어야 하는 거 아니냐 할 수도 있는데 愛賜尸(*ᄃᆞᄉᆞᆯ), 山叱伊賜羅次(*묏이ᄉᆞ랒), 水賜(므스리) 같은 예로도 충분히 뒷받침이 된다고 생각함


*나ᄉᆞ리(*나ᄉᆞ- + -ㄹ + 이) > *나ᅀᆞ리 > 나ᄋᆞ리 > 나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