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브덕에서 꾸준하게 활동하면서 캐릭터 제작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제법 계신 것 같아 아주 간단한 팁을 포함한 제작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 방식은 전문적인 커스텀 프롬프트를 짜실 필요도 없고 순수 한글로만 작성하셔도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캐릭터 제작 방식이기 때문에 튜토리얼 하는 느낌으로 따라만 하신다면 누구나 제작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먼저 케이브덕 매인 화면 상단의 '만들기' 를 클릭하시고 '캐릭터만들기'를 클릭해 주세요.




지금부터가 본격적인 캐릭터 제작 창입니다. 여러가지 복잡해 보이는 부분이 많아 보이지만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면 크게 어려움이 없이 제작 가능하니 부담스러워 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진행하겠습니다.



캐릭터 이름 



제작 창에 팁으로 쓰여있는 중의적인 이름을 피하셔서 간단하게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의 이름을 작성하시면 끝입니다. 


팁 : 이름은 가급적이면 짧은 것이 좋습니다. AI봇 특성상 유저가 캐릭터의 이름을 많이 채팅켜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이름은 채팅에 참여하는 유저의 피로도를 높이는 경우가 있어 저는 특정한 경우가 아니면 거의 모든 캐릭터의 이름을 두글자나 네글자 사이로 잡고 두글자가 넘어가는 캐릭터의 경우에도 쉽게 타이핑 할만한 캐릭터 이름으로 작성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특수한 경우가 한국 이름의 경우 두글자 위주로 작성하며 외국 이름의 경우에는 가급적 세글자를 많이 씁니다.


추가로 작명센스가 없거나 게임 캐릭터 만드실때 선택장애가 있으셔서 몇십분이나 몇시간 부여잡고 계신 분들은 그냥 챗GPT에 질문하시면 간단하게 알려줍니다.(참고로 제가 그 선택 장애 입니다.)




캐릭터 설명



지금부터는 여러분들이 매우 자주 사용하는 {{user}}, {{char}}을 사용하실건데 간단하게 말하면 {{user}}는 유저를 지칭하고 {{char}}는 당신이 만드는 AI캐릭터를 지칭합니다. 

간단한 캐릭터의 특징을 잡아주시고 캐릭터 설명에 작성하는 내용에 따라 캐릭터의 성격과 행동 방향성이 달라지기 캐릭터의 이미지를 잘 생각하셔서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시 :

{{char}}는 {{user}}의 어린 딸이다.

{{char}}는 흰색 단발머리에 파란 눈을 하고 있다.

{{char}}는 매우 밝고 웃음이 많다.

{{char}}는 어려서 일찍 엄마가 돌아가셔서 아빠인 {{user}}와 단둘이 살고 있다.

{{char}}는 자신을 언제나 사랑으로 돌봐주는 {{user}}에게 언제나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char}}는 아빠인 {{user}}를 매우 사랑한다.



팁 : 위의 예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char}}는' 이라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사실 다음과 같이 '{{char}}는 {{user}}의 어린 딸이며 흰색 단발머리와 파란 눈동자를 하고 있고 매우 밝은 미소의 아빠를 사랑하는 소녀이다.' 라고 장문으로 사용해도 어느정도 인식은 합니다. 단 GPT-4.0이나 Claude 2처럼 성능이 좋은 모델은 쉽게 인식을 하겠지만 만다린이나 다른 GPT-3.5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설정만 인식하여 캐릭터성을 제대로 방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char}}는' 이라는 문장으로 각 설정 하나하나를 인식 시켜주는 것이 GPT-3.5나 만다린에게 인식률을 높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으로 캐릭터 설명에는 말 그대로 캐릭터의 설정만을 작성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저의 설정을 추가로 작성하면 대화 중 ai가 유저의 입장에서 대화를 거는 경우도 종종 생깁니다.



다음으로 대화 예시이미지 생성은 초보적인 부분에서 쓰이지 않아도 무방하고 이미지 생성 시에 포인트가 들어가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비추천 이어서 넘어가기로 하겠습니다.



이미지 


캐릭터의 이미지를 추가하는 곳으로 보통 제작자가 따로 AI로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케이브덕은 자체적인 AI 필터를 사용하여 검열하고 있기 때문에 그림을 드래그하여 올려두면 자동적으로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일반, 19금, 공개 혹은 링크 공개 불가로 나누어집니다.


19금 이미지를 등록할 경우 일반 공개가 불가능하며 오직 19금 등급으로만 공개가 가능하며 공개 혹은 링크공개 불가로 나올경우 오직 비공개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케이브덕의 AI 이미지 인식 필터는 완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전한 그림도 간혹 공개 불가나 19금으로 뜨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노출이 많은데 전체 이용 가능으로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노출이 많은데 전체 이용 가능이라서 그냥 쓰셨다면 유저 신고로 잘릴 수 있으니 사용하지 마세요.


위와 같이 전혀 노출이 없음에도 19금 혹은 공개 불가로 뜨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어떤 장면인지 묘사해 주세요.'라고 쓰여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장면 묘사가 가능합니다. 만다린의 경우에 인식률이 매우 떨어지고 이미지도 거의 랜덤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크게 의미가 없지만 작성하지 않으면 캐릭터 등록이 불가능하며 GPT-3.5 이상의 모델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특정 이미지에 어울리거나 혹은 기본적인 문구만 작성해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팁 : 묘사를 작성하실 때 가급적이면 영어로 작성을 해주시고 웃은 모습이 1~3 장이라면 띄어쓰기 없이 smile_1, smile_2, smile_3처럼 '_'를 쓰고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참고로 한글 입력도 어느 정도는 인식을 합니다.


AI 이미지 구하시는 만드시는 분들 중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초반 가입해서 무료로 포인트 받아 2~30개 짤을 제작할 수 있는 사이트와 무료로 AI 이미 지을 제작하는 사이트 두 가지만 추천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개인 PC로 만들고 있습니다.)


https://maze.guru/create

영문 사이트이긴 하지만 한글 선택이 가능하고 초기 가입시 2~30개 정도의 캐릭터 제작이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높은 퀄리티의 이미지 생성이 가능합니다.


https://renyu.ai/

매인 사이트가 따로 있지만 매우 자주 터지는 불안정한 곳이긴 하지만 무료로 생성이 가능하고 높은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는 아니지만 2D기준으로 제법 이쁜 그림을 뽑습니다. 매인사이트가 따로 있어 추가 가입과 결재로 높은 해상도와 추가적인 모델 활용이 가능하지만 너무 자주 터지고 사후관리가 부실합니다. (제가 초반에 이곳을 사용하였습니다.)



공개 설정



위와 같이 비공개, 공개, 링크 공개로 세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비공개는 유저 혼자서만 즐길 수 있고 공개 불가 이미지를 사용하셨어도 등록이 가능합니다. 


공개는 다른 유저들이에게도 공개하며 추가적으로 광장 소개글제작자 코멘트란이 생기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성이 필요합니다. 두가지 모두 캐릭터 설정이나 프롬프트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작성하셔도 괜찮습니다.


링크 공개는 공유용 링크 주소가 뜨며 그 주소를 복사하여 지인이나 특정 사람에게만 전달하여 이용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작성을 마치셨다면 이것 만으로도 충분하게 AI봇으로서 제대로 반응은 합니다만 고급설정을 해주셔야 캐릭터가 더욱 생동감있는 반응을 하기 때문에 고급설정까지 해주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고급 설정



이 부분은 조금 신경을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관





학창 시절에 배운 육하원칙에 따라 명확하게 작성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지켜주셔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캐릭터와 유저의 행동과 주변 상황을 명확하게 {{user}}, {{char}}를 사용하여 제시해 주셔야 AI가 인식을 명확하게 합니다. 


예시:

한 겨울 {{user}}는 딸인 {{char}}와 함께 간만의 휴가로 눈 덮인 산장으로 여행을 왔다. 산장 주변에는 인가가 거의 없이 고요하면서도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있고 {{user}}의 딸인 {{char}}는 매우 즐거워하며 눈 위를 뛰어다니고 있다.


위 예시에서 한 겨울이라는 시기를 지칭하고 눈 덮인 산장이라는 장소를 말해주며 {{user}}, {{char}}를 명확하게 지칭하여 무엇을 하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최대한 AI가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행동하는 주체와 행동하는 모습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쁜 예시로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있고 매우 즐거워하며 눈 위를 뛰어다니고 있다.'

라고 작성을 한다면 AI는 즐겁게 뛰어다니는 대상이 {{user}}인지 아니면 {{char}}인지를 판단하지 못해 엉뚱한 대답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팁 : 위의 예시에서 '매우 즐거워 하며' 라는 설정은 캐릭터 설명에 '아빠와 놀러와서 즐거워 하고 있다.' 이런식으로 작성해도 AI가 인식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지만 세계관을 읽는 사람의 가독성을 위해 자연스러운 문장 구성을 위해 세계관에 추가하는 형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도입부


생각보다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단지 도입부 분위기를 정하는 정도가 아니라 AI캐릭터의 대화 방향성 까지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라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고 싶으시다면 꼭 신중하게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이하게도 AI는 기본 설정보다도 도입부의 대사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도입부의 나레이션과 대사의 방식으로 다음에 이어갈 대사에도 영향을 주며 첫 대사로 유저에게 말을 걸거나 질문을 하면서 자연스러운 대화의 흐름을 만들어가는 기초 역할도 합니다. 


예시:

*한참을 하얀 눈 위를 뛰어다니던 {{char}}는 아빠인 {{user}}에게 달려와 안기며 해맑은 미소로 감사함을 전한다.*

아빠! 고마워요. 정말 이런 아름다운 곳은 처음 와봐요!


위와 같이  세계관 도입과 마찬가지로 대상을 명확하게 {{user}}, {{char}}로 구분 지어 이야기를 끌어가시는 것이 좋고 가급적이면 나레이션과 대사는 무조건 {{char}}의 입장으로만 진행하세요. 보통 첫 대사는 AI가 {{char}}의 대사로 인식하기 때문에 {{user}}의 입장으로 대사를 출력하면 이후 출력하는 내용에서 {{user}}입장으로 AI가 출력하는 문제가 종종 생깁니다.


팁 : 추가적으로 첫 도입부의 {{char}}의 대사를 일부러 {{user}}에게 질문하는 형식으로 한다면 캐릭터에게 원하는 대사 유도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도입부 대사에서


*한참을 하얀 눈 위를 뛰어다니던 {{char}}는 아빠인 {{user}}에게 달려와 안기며 해맑은 미소로 감사함을 전한다.*

아빠! 고마워요. 정말 이런 아름다운 곳은 처음 와봐요! 저... 사실 아빠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


와 같이 '저... 사실 아빠에게 하고싶은 말이 있어요.' 라는 대사를 추가하여 위의 캐릭터 설명에 작성한 '{{char}}는 자신을 언제나 사랑으로 돌봐주는 {{user}}에게 언제나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와 자연스럽게 연계시킬 수 있고 자신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는 방향성으로 유도가 가능합니다.



비공개 정보


다른 유저에게 공개하지 않는 정보를 작성하는 곳입니다. 보통 저는 공개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비공개 설정을 작성하기도 하고 AI의 행동 양식을 작성하기도 합니다. 한글로 작성해도 직관적으로만 작성을 하면 인식률은 높은 편입니다. 


예시 : 

{{char}}는 말을 할 때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말하며 추상적이고 나 모호한 말을 하지 않는다.

{{char}}는 {{user}}에게 자신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려 한다.

{{char}}는 {{user}}와 함께 여행에서 다양한 즐거움을 찾으려 한다.

{{char}}는 다양한 여행의 즐길 거리를 {{user}}에게 제시한다.

{{char}}는 어린아이의 말투로 밝고 명랑하게 말한다.

{{char}}는 '와!', '우와!', '오...' 같은 의성어를 적극 사용한다.


위의 예시처럼 대화를 진행하는 유저가 모르는 정보를 주로 작성하며 캐릭터의 행동 패턴이나 방향성을 잡아주는 설정을 주로 작성합니다.



여기까지만 끝나도 캐릭터는 정상 작동합니다. 추가적인 개인적인 노하우나 팁은 많이 있지만 너무 길어진다 생각이 들고 막상 작성하다 보니 힘이 빠지는 부분도 있어 혹시라도 따로 추가 요청이 있다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작성한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여 캐릭터를 작성해 봤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한 번씩 확인을 해보세요.


https://caveduck.io/character-info/73cf6f5d-0524-4151-958c-8d6b3622ab9e?rc=jaQLHcsP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