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챌을 만들고 실질적인 글은 처음 올리네요!
반가워요


우선 생물학 기본 편을 부담없이 (생물학을 어려워했던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설명할 아이디어는 있는데 실행력이 
딸려서요. 우선 이 채널 공유 목적은 생명을 재미있게 서로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식-그림 기본편”은 근 시일 내에 올려드릴게요.

공룡글에 이어 중학교 2학년 때 배우는 혈액순환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화해서 보여드리고 싶어요.
그림 자체(와 이름)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그건 제가 잘 못그려서에요.) 혈액순환에 관한 설명은 간단하게 소개해드릴게요.


혈액이란 우리의 기관 중 순환계라는 매우 중요한 기관계 중 하나입니다.기관계란 여러가지 일들을 각각 맡아서 분담하고 있는 기관들이 서로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아요.

기관이 뭔데? : 기관이란 호흡기관, 배설기관, 소화기관{소화샘/소화관 모두 포괄해서} (입, 침샘, 식도, 위, 십이지장, 이자, 간, 쓸개, 소장, 대장.. 등) 우리가 생활 속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들 대부분이 여기에 속합니다.

기관은 여러 역할을 합니다. 우리의 호흡을 도와주고 호흡을 해서 산소가 우리의 온 몸을 순환하게 도와주는 역할도 하지요. (혈액)
(자세하게는 다른 글에다가 쓸게요)


그런 기관이 서로 유기적으로 (역할이나 기능, 상태가) 연결되어 있고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생명은 암기과목이라고도 불리지만 이 글을 읽고 모든 엑기스를 빨아가실 필요는 없어요.

우리가 알아보려는 혈액은 순환계에 속한다 했는데 순환계는 심장, 혈액, 림프 등이 있고 몸 안의 (손, 발, 머리, 피부.. 등)각 기관에 영양과 산소를 적혈구처럼 운반하고 공급합니다..


(순환계의 작용은 추후에...)


-> 그렇다면 어떻게 혈액이 몸 속에서 운반될까요? 

심장 펌프 기능 덕분인데요, 주로 AED라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서 박자가 음악처럼 생깁니다. (엇박이지만요)


심장 내부에서 어떻게 펌프질을 하는 지도 궁금해하실까봐 설명보다 그림(사진)으로 공유해드리겠습니다.____ 출처: NEWTONS 잡지

심장에서 혈액을 펌프질 하기 위해 심장 안의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엇박자로 해서 엇박과 함께 우리의 혈액이 주사기 누르듯이 압력에 의해 밀려나는데요, 혈액이 역류하면 위험해지기에 각각의 주요 부위 사이에는 판막이라는 혈액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가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기본편입니다.)


이런 지루한 걸 왜 계속 하냐고요? 나중에 혈액에 관한 기본지식이 있으면 다양한 생리현상에 대한 이해도 빨라집니다!

무튼 제가 이 글을 올린 목적은 생리현상 이해보다 해부학에 이 정보가 매우 도움이 되서인데요, 


혈액 순환 방향은 간단하게 정맥과 동맥에 의해 구별됩니다. (동맥 : 움직일 동, 맥(혈관) 맥) ||| (정맥 : 고요할 정, 맥 맥)




빨파 구분도 좋지만 저는 정들동나 로 기억했어요 

맥은 어오는 혈관

맥은 가는 혈관


어디에서 들어오고 나가는데? (기준은 심장입니다.)


이 순서로 심장에서 정해진 길을 통해 펌프질 되어 혈액이 계속해서 몸 속에서 흐르고 심장 밖으로 나가는 (위의 사진 기준 좌심실_우측하단) 대동맥을 분기점으로 매우 복잡해집니다... 그래서 설명은 (기본편 후반에 적고) 재밌어 하실만한 그림을 그려왔음.


제가 직접 그린 건데, 그림이 복잡하더라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 동맥입니다. 이름은 부위 별로 어디로 혈관이 심장에서 나가는 지를 주로 의미합니다.

다 동맥이니까 심장에서 나가서 정맥들을 통해서 다시 심장으로 들어오는 사실은 틀림 없죠. 우리 몸 전신을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서 이러한 혈관들 (중 동맥)을 지나 다시 심장으로 들어온다는 그런 그림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편 보러 가기 https://arca.live/b/biosystem000001/98847945?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