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5월 4주차 각종 예측 보도

주간 Wall Street 인사이트(5.20) - KCIF 국제금융센터 - 정기보고서 - 주간보고서

•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산 주요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발표는 미중 무역전쟁의 재연과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 대부분 분석기관은 이번 조치와 중국의 맞대응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교역 악화, 녹색기술 전환 속도 둔화, 주요국들의 자국 보호주의 확대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 일부 기관들은 중국 상품 관세의 미국 수입업체 부담 및 소비자 전가, 우회국을 통한 중국의 대미 수출 등으로 미국이 의도하는 효과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중국정부의 지방정부 미매각주택 매입, 모기지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부동산 부양 계획에 분석기관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지난주 발표된 미국 4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헤드라인 3.4%, 근원 3.6%로 전월대비 둔화되고 예상치를 하회하자 대체로 긍정적 평가가 나왔습니다.



🌎 미국의 대중 고관세 조치가 발표되면서 분석기관들은 무역전쟁의 재개와 글로벌 성장 둔화 가능성을 우려했지만, 정작 실제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 이 소식의 중요성(Why it matters):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산 주요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발표는 미중 무역전쟁의 재연과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 대부분 분석기관은 이번 조치와 중국의 맞대응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교역 악화, 녹색기술 전환 속도 둔화, 주요국들의 자국 보호주의 확대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 하지만 일부는 미국의 특정 부문 관세에도 불구하고 다른 중국 수입품 관세를 유지한 점, 영향받는 중국 수출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들며 전면적 맞대응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내년은 불확실하다는 입장입니다.


🔍 자세히 보기(Zoom in): 일부 기관들은 중국 상품 관세의 미국 수입업체 부담 및 소비자 전가, 우회국을 통한 중국의 대미 수출 등으로 미국이 의도하는 효과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중국 부동산 대책(China's real estate measures): 중국정부의 지방정부 미매각주택 매입, 모기지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부동산 부양 계획에 분석기관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Nomura 등은 이번 조치를 중국 부동산시장 위기의 끝을 알리는 신호로 보기도 했습니다.
  • 최근 수년간 이어진 부동산 불황에 일정 부문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 하지만 대책의 구체적 규모와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 자금조달 문제 등 한계도 지적되며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했습니다.


📉 인플레이션 둔화(Inflation slowdown): 지난주 발표된 미국 4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헤드라인 3.4%, 근원 3.6%로 전월대비 둔화되고 예상치를 하회하자 대체로 긍정적 평가가 나왔습니다.

  • 일부에서는 인플레이션 둔화세 재개 신호로 해석했지만, 대다수 기관은 둔화 정도가 매우 약하고 렌트비 견조함, 에너지 가격 등 대외불안 등을 감안해 아직 수 차례 지표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었습니다.
  • 이에 따라 연준의 금리인하 개시에는 아직 확신이 부족할 것으로 보이며, 다만 인상 재개 가능성은 이전보다 줄어들었다는 평가가 우세했습니다.


🔮 앞으로의 전망(What's next): 분석기관들은 향후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여부, 중국 부동산 부양책의 실효성, 인플레이션 둔화세의 지속 여부 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 이들 요인은 미국과 중국, 나아가 글로벌 경제의 향방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 특히 미중 무역갈등 심화 정도와 중국 부동산 회복세가 어느 정도일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