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자 간 상호작용

분자 간 힘은 크게 3가지가 존재한다.

분산력 = 순간 쌍극자 - 유발 쌍극자 사이의 힘: 일반적으로 가장 약함. 분자량이 클수록 커지니 분자량 차이가 크면 다른 힘보다 셀 수 있음. 분자 구조가 직선형일 수록 (표면적이 클수록) 크다. (ex. N -펜테인과 Iso-펜테인, Neo-펜테인)

* 분산력은 모든 분자에서 작용한다! 무극성만 있는거 아니다.

쌍극자-쌍극자 힘: 극성 분자 사이의 힘. 파셜+, 파셜-끼리 인력이다.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면 크겠지?

수소 결합: F, O, N과 수소 원자 간의 간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강한 인력 (공유결합 자체를 의미하는게 X)

-> 수소 결합 하나의 세기는 HF가 가장 쎔. 그러나 H2O는 분자 당 평균 수소결합 개수가 크기 때문에 H2O가 가장 끓는점이 높다.

-> 따라서 화학식을 보고 "구조식"을 그리고, 거기서 쌍극자-쌍극자 힘이나 수소결합이 있는 지를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 -> 화1 안해도 된다는 것은 거짓말이지 ㅋㅋㅋㅋㅋ

* 끓는점 // 녹는점  = 어는점: 분자 사이의 힘이 클수록 얘들도 높다.


2. 액체의 성질

물의 성질 + 증기압력을 배운다.

물(H2O): 수소결합에 의해 끓는점이 매우 높다(100도). 4도에서 밀도 최대(부피 최소) 등의 개념은 외우자

* 표면장력과 모세관 현상: 표면장력은 분자 간 힘이 클수록 커진다. 물 분자 사이의 힘이니 일종의 응축력이라 생각해도 무방함. 모세관 현상은 벽과의 부착력(액체와 다른 물질간의 인력)과 응집력(액체가 자기 분자 간의 힘)에 의존함.

* 증기압력: 온도에만 의존, 온도 증가하면 증기압 증가 // 분자 간 인력이 작으면 액체로 남아있을 힘이 적으니 기체가 많이 되어서 증기압이 높음.

* 물의 상평형 그림: 물은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한다. 따라서 압력이 크면 부피가 작아지니(그렇다 합시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됨(자세한건 대학가서..)


3. 고체

크게 분자 결정(분자 간 힘으로 구성), 공유결정(공유결합으로 구성), 금속결정, 이온결정(이온결합으로 구성)이 있다. 각각의 분자 간 힘, 녹는점, 전기 전도성 등은 이해하고 외우자.

* 결정의 구조: 단순입방, 체심입방, 면심입방: 각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자. 반지름으로 계산하는 문제가 나올지는 잘 모르겠음. 그래도 피타고라스 정리 쓰면 되니까..

* 배위수 = 한 원자에 가장 인접한 원자 수: 단순입방 = 6, 체심입방 = 8은 쉽게 알 수 있다. 면심입방은 바로 떠올리기 쉽지 않으니 12로 외우고 다니자.


* 이온결정의 구조

AnBm 등의 이온결정의 경우, A, B가 각각 단순/면심/체심 등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원소들 간의 개수, 인접한 X의 개수 등을 물어볼 수 있다.

-> 단위 격자에서 A의 개수, B개수는 화학식에 따라 n: m이다 + A와 인접한 B의 개수 : B와 인접한 A의 개수는 m: n (화학식에서 역수비) 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