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 서포터

사용처 : 클랜전, 던전

분류 : 통상 캐릭터

획득 방법 : 일반 뽑기 (23년 8월 중순 최초 등장 예정)











나름 전작의 주역들인 트윙클 위시 기반 + 높은 인기 + 빵빵한 몸매를 가졌음에도 스토리상으로는 빅엿을 먹는 캐릭터 중 하나인 유이

수유이의 인연스토리도 이 기조에서 벗어나지 않아 같은 길드 멤버인 레이와 히요리가 키시쿤과 꽁냥거리고 있을때 유이는 어버버하거나 산통깨지는 일이 벌어지는게 부지기수

어떻게 그 몸을 가지고 하는게 키시쿤과의 퓨전?










스킬 구성 및 행동 패턴

수조미와 비슷하게 초반에는 1스킬을 주로 시전한 이후 반복 패턴은 2스킬 위주다










프코로가 생명권으로서의 칭호를 박탈당하고 마딜팟에서 겨우 연명하고 있던 찰나 등장한 신흥 만능 서포터 수유이.

프코로에서 아주 쬐끔의 방깎과 TP상승을 빼고 아군 보호 + 영구지속 버프를 넣은게 수유이다.

수유이의 버프는 마딜팟에만 적용되지만 알빠노? 프코로도 6수코로에 밀려 어쩌다 마딜팟에 얼굴을 비추는 와중에 수유이의 등장은 프코로에게 치명상을 입혔다.

프코로가 완전히 사망선고를 받는 것은 다들 알다시피 아메스의 등장 이후지만 사실 수유이도 프코로에게 큰 타격을 입힌 픽임










근데 뒤집어말하면 프코로의 '어정쩡함'이라는 단점이 그대로 수유이에게 적용된다는 소리.

1스킬의 버프가 영구지속이라는 대가로 수치를 매우 짜게 받았다. 심지어 시전빈도도 낮은 편이라 유버의 피해흡수배리어, 2스의 TP 회복과 아군 회복을 메인으로 하는 서포터로 운용해야하는데...

뉴네카가 맨앞에 서면 못 버티는 보스 + 수유이가 맨앞에서 버틸 수 있는 보스가 별로 없다는게 문제. 즉 접머보스 상대로만 제몫을 해준다는 결론이 도출되며, 기껏해봐야 도트딜로 갉아먹는 보스 + 한 방이 푹찍은 아닌 보스 정도로만 효율이 나온다 정도?











상기했듯이 수유이를 쓸 경우 주로 탱커 포지션을 잡게 되는데, 마딜팟을 구성할때 간과해서는 안될 점이 있다. 모니카의 존재. 모니카는 물마딜팟 모두에서 쓰이던 최전성기 이후로는 마딜팟에서 더 얼굴을 자주 비추는 픽으로 방향이 선회되었는데, 모니카는 물딜이라서 수유이의 버프를 전혀 못 받는다. 뉴네카가 버티지 못하면 보통 모니카가 맨 앞에 서는 케이스가 많아서 수유이를 쓸 이유가 또다시 사라진다는게 문제.









수유이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만능'을 대가로 높지 못한 아군강화력과 낮은 범용성이라는 제약을 얻은 서포터.


그리고 그 대가는 당월 대 오를레앙 + 이후 대 바실리스크 1군 탱포터로 활약한걸 제외하면 아메스 하위호환 픽 중 하나.










전용장비 추가 이후 (일섭 23년 7월, 한섭 24면 8월)에도 수유이의 미래는 암울하다.

1스의 버프수치 중 크리티컬은 두 배, 크리티컬 데미지는 세 배, 마공버프는 체력에 비례하여 최대 4배 이상으로 줄 수 있도록 전장을 받았는데...

수유이의 첫 패턴사이클이랑 수유이가 쓰이는 용도를 생각하면 뭐가 문제점인지 바로 보인다.

아군에 최대 수치의 마공버프를 주려면 체력이 높아야하는데 수유이는 마딜팟에서 맨 앞에 서고, 2스킬의 빈도가 적다. 그리고 반복사이클에선 1스킬의 빈도가 적다.

즉 수유이의 설계 의도와 전장의 강화점이 충돌하는 모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전히 아메스 하위호환 픽 중 하나라는 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육성 방법 : 서포터 국룰세팅 (최고랭 -1, 방템 제외)


뭐 이래나저래나 빛의 세계에서나 어둠의 세계에서나 인기캐릭인 유이니깐 수유이를 픽업때 뽑고 써먹으려면 서포터 국룰세팅으로 맞춰주면 오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