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장붕이가 내게 이렇게 묻더라.

"판타지에서 금화, 은화, 동화는 항상 나오는데, 이것들은 각각 어떤 가치가 있을까?"


근데 내가 "지금 금값이 그램당 76,221.97원이고, 보통 동전이 4g정도 하니 304,887.88원임ㅋ"이럴 순 없잖아?

화폐라는건 국가의 경제력과 액면가, 소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니까.

대략 13~15세기 경의 중세 화폐에 대한 글을 쓰기로 했다.


우선 중세에는 어떤 화폐가 쓰였고, 어떻게 화폐가 등장했냐?


우선 유럽의 금속화폐는 기원전 11세기 그리스에서 사용된 드라크마가 시조이지만, 화폐가 대중화된 것은 고대 로마가 병사들의 봉급을 지불하기 위해 주조한 은화인 데나리우스부터다.

대나리우스 1개는 당대 노동자의 하루 일당의 표준이었으며, 대략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다.

1 데나리우스 = 16개의 빵
1 데나리우스 = 8개의 식기
2 데나리우스 = 3인 가족(노예 1명)의 하루 지출
7.5 데나리우스 = 서민의 평균 현금 보유량
4 데나리우스 = 튜닉 1벌
600~25000 데나리우스 = 노예 1명 


1 데나리우스에 빵 16개를 받을 수 있는데, 여기서 근대까지 식사용 빵은 매우 컸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것을 보면 겨우 은화 하나가 상당한 가치를 지녔음을 알 수 있다. 

산업화 이전의 생산, 경제력은 산업화 이후와는 비교도 되지 않았다는걸 감안하면 현대인이 생각하는 가치보다 훨씬 컸을 것이다.

근데, 현대 화폐와는 달리, 당시 화폐의 가치는 화폐의 재료에 따라 결정되었다. 

그래서 로마 제국이 오래될수록 돈 딸릴때마다 은의 순도를 줄인 화폐를 대량 주조했는데, 덕분에 화폐의 점차 가치가 떨어져 인플레이션을 초례하고 말기 로마의 씹창난 상황을 만든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로마시대의 경제에 대해서도 하루 종일 떠들 수 있지만, 우리가 바라는건 중세의 화폐경제잖아?

그래서 데나리우스에 대한 설명은 일단 여기서 넘어가자.

그냥 데나리우스의 이름과 대략적인 가치, 그리고 데나리우스부터 화폐경제가 전 유럽에 보급되었다는 것만 알아둬라.


어쨌든 로마의 영향으로 전 유럽에 퍼진 화폐경제는 로마가 동방으로 밀려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지금이야 그냥 은행이나 ATM에서 뽑아서 과자사먹는게 화폐지만, 사실 이 화폐는 굉장한 물건이다.

단순한 자원의 교환권을 넘어, 국가의 힘과 권위를 과시하고, 정치와 경제를 지배할 수 있는게 바로 화폐다.

당장 나라가 망조들면 가치가 오르는 북한 원과 미국 달러의 차이를 보면 알 수 있다.


중세의 군주들도 똘추가 아닌지라 이러한 화폐의 힘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당대 도시 하나 하나가 국가로 기능하던 봉건 사회에서 도시간의 교역에는 화폐가 필요하고, 그 화폐에 자신의 얼굴이 세겨져 있는 것만큼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수단이 없을터이니.

그렇기에 당대 여러 힘있는 군주나 정치세력들은 자신의 얼굴이나 문장이 세겨진 화폐들을 발행하였고, 그 외 씹새끼들이 화폐를 독자적으로 주조하는 행위와 화폐의 훼손을 반역으로 보고 엄벌에 처했다.

근데 당대 화폐는 누가 주조했는지가 아니라 뭐로 만들었는지가 더 중요한데다가,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도 아니라 왕 본인이나 아님 임명된 조폐 담당자가 주조하는 경우도 많았고, 그냥 위조되서 돌아다니는 것도 많았다.

그래서 유럽 표준 화폐가 두카트인거다. 개나소나 다 주조해서 존나 돌아댕겼거든.


이러한 배경 속에 유럽에는 다양한 화폐가 주조되고 유통되었다.

그 중 특히 주목받는 화폐에 대해 언급하자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위를 독점하던 룩셈부르크 가분의 본진인 보헤미아 왕국의 프라하 그로셴, 베네치아 공화국의 공식 화폐인 두카트, 씹창난 데나리우스를 대체하기 위해 로마제국이 주조한 솔리두스, 신성 로마 제국의 플로린, 브리튼 섬에서 유통된 파운드 등 다양한 화폐가 유통되었다.


(그로셴 은화)


근데, 내가 저 위에 써놓은 것들은 은화인 그로셴 빼고 전부 금화다.

중세보다 1인당 소득이 더 높던 로마 시대에도 은화 하나에 벌벌 떨었는데, 중세도 별반 다를게 없었다.

그래서 그때 은과 금같은 귀금속으로 만든 화폐는 대규모 거래나 여행자의 비상금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고액권의 역할을 했고, 일반적인 상거래에 쓰기에는 가치가 너무 컸다.

그래서 일반인들은 물물교환을 하거나 여러 소액권을 썼다.

이 소액권은 보통 구리와 은을 섞어서 만드는데, 헬러, 페니, 오블롱 등이 있다.


일단 너무 난잡하게 늘어놓았으니 소재별로 다시 정리를 하면 대충 이정도다.


금화: 두카트, 솔리두스, 파운드, 플로린

은화: 실링, 그로셴, 페니, 데나리우스

구리: 오블롱, 하프 오블롱


우선 보헤미아 왕국에서 유통되던 화폐의 가치는 다음과 같았다.

그로셴=7페니

페니=14 헬러


그로셴은 큰 은화였고, 페니는 작은 은화 혹은 구리가 섞인 은화였으며, 헬러는 동화였다.

근데 그로셴의 경우, 15세기 경부터 보헤미아의 은광들이 고갈되기 시작하며 은의 순도가 줄어들어 가치가 씹창나기 시작했다.

거기다가 가치가 지 좆대로인데, 또 동전 갯수를 세는 단위는 12와 60의 배수로 새는 존나 근본없는 단위로 세서 일반인은 쓰기도 힘들었다.

거기다 은의 순도와 국가의 경제, 상품의 시세 등 다양한 요인으로 가치가 변동하였기에 더더욱 도시에서 생활하는 시민계층 이상이 아니고서는 화폐 자체를 잘 안썼다.

그래서 중세시대에는 직접세가 없어서 세수를 방앗간이나 화덕같은 공공시설에 사용료를 받아서 세금을 걷었는데, 이 중 방앗간지기나 재빵사들은 농노들이 가져온 곡물에서 자기 몫과 세금을 때고 서비스를 제공했다.

여기에 자기 몫을 존나가 때가고 비는 양을 곡물에 저가 곡물이나 모래같은 이물질을 섞어서 불리는 양아치들도 있었으며, 아무리 적게 때도 준 양하고 받은 양이 다르니 농부들은 방앗간지기를 혐오하는 것을 넘어, 도둑질을 하거나 장물에 손을 대는 사회암적인 쓰레기로 보았다.

물론 대부분은 사실무근이었지만 말이다.

말하자면 현대 대한민국 사회에서 딸배나 화물차, 택시, 노가다쟁이 보는 시선이랄까?


대충 요약하면, 화폐의 가치는 정해진 것이 아니고 지좆대로 변동하였으며, 액수도 존나 컸기에 농노같은 하층민을 중심으로 물물교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밑에는 인터넷에 흔히 떠도는 글 퍼온건데, 나 변호사 보러 가야 해서 설명을 이걸로 대체하겠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ungjin02&logNo=20187787363

중세 유럽의 물가


중세 유럽의 화폐 단위


페니(Penny) : 영국 파운드의 옛 보조단위로, 1/240 파운드이고 1/12실링이었다. 기호는 d. 현재는 1/100파운드이며, 기호는 p를 쓴다.


파운드(Pound) : 240 페니. 가장 큰 단위의 화폐였다.


플로린(Florin) : 120 페니. 3~5g의 금이 함유된, 국제 통화로써 쓰인 금화였다.


실링(Shilling) : 12 페니. 주로 상인들 사이에서 많이 쓰인 화폐이다.


오블롱(Oblong) : 0.5 페니. 구리로 만들었다.


하프 오블롱(Half Oblong) : 0.25 페니. 구리로 만들었다.



리브르(Livre) :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 프랑(Frang)과 같이 쓰인 뒤, 프랑스 대혁명을 계기로 프랑이 리브르를 대신한다. 영국에서는 파운드가 리브르를 대신했다. 무게단위 파운드가 lb로 표기되는 것은 리브르가 리브라(Libra)라고도 불렸기 때문이다.


솔리두스(Solidus) : 로마시대의 금화에서 유래된 단어로서, 중세 유럽에서도 같은 뜻으로 쓰였다. 20솔리두스가 1리브르의 가치를 갖는다. 영국의 실링과 프랑스의 수(Sous)가 바로 이 솔리두스에서 유래한 것이다.


데나리우스(Denarius) : 로마시대 통용되던 은화의 단위. 중세 유럽에서도 같은 뜻으로 쓰였으며, 12데나리우스가 1솔리두스로 계산되었다. 영국의 페니가 d로 표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과거 프랑스에서 쓰이던 드니예르(Denier)가 바로 데나리우스를 뜻한다.



13세기 이후 유럽에서는 상업의 발달과 더불어 에큐, 두카트, 무통, 루이 등의 다양한 화폐단위가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한쪽으로 통합된 경우가 많다.



중세 유럽의 물가


중세 유럽의 물가는 현재와 기준이 완전히 다르므로 섣불리 가격을 환산하면 맞지 않는다. 이럴 때는 가치의 변화가 적은 식료품을 중심으로 환산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 또한 동양과 서양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물가를 현재의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는다는 것이다.



갑옷 및 무기


하드래더 아머 : 60 페니


스케일 아머


: 600 페니


체인메일 : 1,200 페니


스콰이어의 플레이트 : 1,200~1,640 페니


밀라노 산 풀 플레이트 : 2,000 페니


기사의 풀 플레이트 : 3,920 페니


글로체스터 공작의 풀 플레이트 : 24,720 페니


웨일즈 대공의 풀 플레이트 : 81,600 페니


베시넷(기사용 투구) : 40~160 페니


손도끼 : 5 페니


랜스 : 6 페니


싸구려 검 : 6~ 8 페니


창, 할버트, 워해머, 메이스, 플레일 : 8~25페니


좋은 검 : 25~ 50페니


롱 보우 : 15 페니


롱 보우 전용화살 1통 : 15 페니


크로스보우 : 60 페니


크로스보우 전용볼트 20개 : 6.25 페니



숙박 및 숙식비


여관에서의 하루 기본 숙박 : 1 페니


여관에서의 식사 및 음료 : 2 페니


여관에서의 난방과 촛불 : 1.25 페니


여관에서의 고급 침대 : 0.5 페니


여관에서의 하인용 침대 : 0.25 페니


여관에서의 뜨거운 물로 목욕 : 2 페니


여관에서의 사료 및 마구간 : 1.25 페니


대학교에서 주당 기숙사 비 : 24 페니


허름한 집 1년치 세금 : 60 페니


장인의 집 1년치 세금 : 240 페니


상인의 집 1년치 세금 : 600 페니



건물 및 부동산


우물 : 18 페니


곳간, 광 : 120 페니


2층짜리 오두막 : 480 페니


농노의 집(16~25평) : 640~800 페니


잘 지어진 연립주택 : 1,200 페니


가게가 붙어있는 장인의 집 : 2,880 페니


평범한 영주의 저택 : 2,880 페니


도개교가 있는 목재 게이트 하우스


1) 영지 내의 자재로 짓는 경우 : 1,280 페니


2) 영지 바깥의 자재로 짓는 경우 : 3,840 페니


석재 게이트 하우스


1) 영지 내의 자재로 짓는 경우 : 4,000 페니


2) 영지 바깥의 자재로 짓는 경우 : 7,200 페니


대도시에서의 상인의 집 : 7,920~ 15,840 페니


대형 창고 : 19,920 페니


정원이 딸린 좋은 집 : 21,600 페니


작은 교회 : 27,000 페니


길드의 본점 : 32,640 페니


성의 탑 : 48,000 페니


대성당 : 최소 500,000 페니


13년 간 건축한 성 : 1,404,000 페니




스카프 : 1 페니


지갑 : 1.5 페니


전투용 벨트 : 2 페니


장갑 : 3 페니


신발 : 4 페니


신발 한 쌍 : 4.5 페니


비싼 신발 : 8 페니


부츠 한 켤레 : 8 페니


여성용 린넨 속옷 : 8 페니


빨간 가죽으로 된 화살통 : 9 페니


모자 : 10 페니


셔츠 : 12 페니


양털 호주머니 : 20 페니


기사 갑옷 위에 입는 린넨 서코트 : 24 페니


튜닉 : 24 페니


양털 상의 : 24 페니


양털 로브 : 36 페니


양털 망토 : 36 페니


긴 양털 가운 : 36 페니


장인의 외투 : 36 페니


고급 튜닉 : 36 페니


모피 망토 : 116 페니


고급 드레스 : 2400~12,000 페니



가정용품


토기 : 0.25 페니


토기컵 : 0.25 페니


토기 접시 : 0.25 페니


도기 항아리 : 0.5 페니


배게 : 1 페니


농촌에서의 기름양초 1파운드 : 1.5 페니


도시에서의 기름양초 1파운드 : 2 페니


식용 나이프 : 2 페니


짚단 매트리스 : 2 페니


유리컵 : 2.5 페니


병 : 3 페니


걸상 : 3 페니


의자 : 4 페니


린넨 침대시트 : 4 페니


수건 : 6 페니


책상 : 6 페니


궤짝 : 6 페니


청동 물병 : 6 페니


왁스로 된 양초 : 6.5 페니


금고 : 12 페니


자물쇠 : 12 페니


큰 청동 항아리 : 12 페니


양털 담요 : 15 페니


대야 : 16 페니


옷장 : 24 페니


은거울 : 24 페니



교육비 및 문구류


양피지 1장 : 0.5 페니


책 대여료 : 1 페니


고급 종이 : 1.25 페니


도장용 왁스 : 2 페니


책(1 페시아: 약 7500단어) : 9.5 페니


1달 검술 교습비 : 120 페니


문법학교 1년 등록금 : 160 페니


가정교사의 1년 수업료 : 160 페니


사원학교 1년 등록금 : 480 페니


대학교 1년 기본 등록금 : 480~ 720 페니


옥스퍼드 대학


1) 교복 : 480 페니


2) 1년 기숙사 : 320 페니


3) 1년 기숙사 : 1,248 페니


대학교 1년 귀족 등록금 : 960~ 2,400 페니


유명한 강사의 1년 수업료 : 최소 1,200 페니


책 126권 : 27,120페니



가축


비둘기 : 0.25 페니


암탉 : 0.5 페니


오리 : 1 페니


수탉 : 2 페니


거위 : 3 페니


송아지 : 10 페니


양(산지에서의 가격) : 10 페니


양(대도시에서의 가격) : 17 페니


돼지(산지에서의 가격) : 24 페니


돼지(대도시에서의 가격) : 36 페니


훈련된 매 : 48 페니


훈련된 독수리 : 60 페니


소 : 72 페니


황소 : 108 페니


좋은 품종의 젖소 : 120 페니


당나귀(혹은 노새) : 280 페니



말 가격


작업용 말 : 120~240 페니


늙은 말 : 최소 300 페니


조랑말 : 최소 300 페니


궁기병의 말 : 480 페니


기사용 말 : 1,200 페니


승마용 말(대게 여성용) : 최소 1,680 페니


사냥용 말 : 최소 2,100 페니


승마용 고급 말 : 2,400 페니


데스티에 급 전투마 : 19,200 페니



귀중품


은수저 : 56 페니


금제 목걸이 : 80 페니


진주가 박힌 금제 목걸이 : 282 페니


루비가 박힌 금반지 : 320 페니


다이아몬드가 박힌 금반지 : 1,800 페니



식료품


빵 1 덩어리 : 0.25 페니


맥주 3.7리터 : 0.5 페니


계란 한 다스 : 0.5 페니


청어 12마리 : 1 페니


서양배 30개 : 1 페니


무화과 1파운드 : 1.5 페니


치즈 1파운드 : 2 페니


건포도 1파운드 : 2 페니


싸구려 포도주 3.7리터 : 2 페니


소금 2말 : 3 페니


고급 포도주 3.7리터 : 4 페니


메추라기 알 : 4.5 페니


석류 1개 : 6 페니


양파 2말 : 8 페니


베이컨 1 덩어리 : 9.5 페니


설탕 1파운드 : 12 페니


햄 한 덩어리 : 16 페니


귀리 120kg : 16 페니


보리 120kg : 22 페니


생강이 들어간 빵 1파운드 : 36 페니


밀 120kg : 38 페니


사과술 1통 : 60 페니


창꼬치 3마리 : 80 페니


향신료 1파운드 최대 : 168 페니


철갑상어 1통 : 396 페니


좋은 적포도주 한 통(약 950리터) : 480 페니



서비스


안내원 : 1 페니


곡식 수확(1.5가마) : 1 페니


여관의 음유시인 : 1 페니


나룻배로 말 1마리 + 사람 1명 강 건너기 : 1 페니


망아지의 하루 먹이 및 마구간 비용 : 1.5 페니


전투마의 하루 먹이 및 마구간 비용 : 5.25 페니


갑옷 청소 및 녹 벗겨내기 : 5 페니


마차 수리 : 12 페니


배달원, 말 1마리로 하루 50킬로미터 주파 : 12 페니


배달원, 말 2마리로 하루 100킬로미터 주파 : 18 페니


갑옷 수리 및 광택내기 : 16 페니


영주 저택에서의 음유시인(크리스마스) : 36 페니


장 비우기 : 80 페니



각종 연장


밧줄 1.8미터 : 0.5 페니


삽 : 1.5 페니


끌 : 1.5 페니


곡괭이 : 1.5 페니


송곳 : 3 페니


태엽 통 : 3 페니


양동이 : 4 페니


정 : 4 페니


큰 통 : 4 페니


도끼 : 5 페니


모래통 : 9 페니


물레 : 10 페니


톱 : 12 페니


이음쇠 : 16 페니


베틀 : 24 페니


대패 : 30 페니


쟁기 : 36 페니


텐트 덮개(25m) : 80 페니


바이스 : 160 페니


모루 : 240 페니


풀무 : 240 페니


갑옷 제작도구 세트 : 3,324 페니



교통수단


말 하루 임대료 : 1 페니


말 2마리 + 짐수레 하루 임대료 : 3 페니


나무바퀴를 단 짐마차 : 24 페니


철바퀴를 단 짐마차 : 48 페니


10인용 보트 : 78 페니


마차 : 1,920 페니


마차 1년 유지비 : 12~36 페니


바지선 : 2,400 페니


여왕의 마차 : 96,000 페니


전투 겔리 3개월 임대료 : 156,000 페니


엘레노아 여왕의 마차 : 240,000 페니



급료 및 수입


일반노동자 일당 : 1.25 페니


견습목수 일당 : 1.75 페니


일반보병 일당 : 2페니


직공 일당 : 2.5 페니


장궁병 일당 : 3페니


목수일당 : 3 페니


광대 일당 : 3 페니


견습 갑옷기술자 일당 : 3.75 페니


벽돌공 일당 : 4 페니


갑옷기술자 일당 : 5 페니


경기병, 이십인장 일당 : 6페니


중장보병, 궁기병 일당 : 6페니


중기병,스콰이어 일당 : 12 페니


백인장 일당 : 12페니


시동(혹은 수습기사) 1년 수입 : 약 12~72 페니


일반기사 일당 : 24 페니


궁 내 하인 및 부엌 하인 1년 수입 : 24~48 페니


베너렛 기사 일당 : 48 페니


마부, 문지기, 매 조련사, 하인, 전령사 등 1년 수입 : 60~104 페니


가난한 농노 1년 수익금 : 120 페니


스콰이어 1년 수입 : 160~240 페니


자유농민 1년 수입 : 400~1,200 페니


사제의 1년 수입 : 1,120 페니


교구 성직자 1년 수입 : 1,200~1,600 페니


기사 3달 봉급 : 2,000 페니


런던 경비병의 1년 수입 : 2400 페니


소영주 3달 봉급 : 4,800 페니


대영주 3달 봉급 : 10,000 페니


일반 향사 1년 수입 : 12,000 페니


하급 가신의 1년 평균수입 : 16,800 페니


부유한 향사 1년 수입 : 26,400 페니


부유한 농민 1년 수입 : 36,000 페니


남작과 대수도원장의 1년 평균수입 : 48,000~120,000 페니


브루주아의 가족 1년 평균 수입 : 60,000 페니


작은 성의 성주의 1년 평균수입 : 최대 66,000 페니


변호사 1년 수입 : 최대 72,000 페니


영국 재상의 1년 평균수입 : 80,000 페니


백작과 공작, (대)주교의 1년 평균수입 : 96,000~2,640,000 페니


프랑스 재상의 1년 평균수입 : 200,000 페니


영국 국왕의 1년 평균수입 : 7,200,000 페니



생활비, 재산


농노 저축금 : 200~400 페니


하인 1년 생활비 : 360 페니


자유농민 1년 생활비 : 1,080 페니


스콰이어 1년 생활비 : 1,460 페니


하급귀족 1년 생활비 : 2,600 페니


소지주 가문 1년 생활비 : 12,000 페니


부유한 소지주 가문 1년 생활비 : 26,400 페니


부유한 기사가문 1년 생활비 : 60,000 페니


부유한 남작가 1년 생활비 : 314,000페니


글로체스터 공작 총재산 : 8,400,000 페니



□각종 신분증서, 결혼비용, 장례비용


목수 길드 견습 입회료 : 12 페니


농노의 결혼비용 : 12~160 페니


포목상 길드 견습 입회료 : 24 페니


목수길드 회원료 (장인) : 40 페니


시민권 : 40~240 페니


농민 결혼 지참금 : 160~ 760 페니


부유한 농민 결혼잔치 비용 : 240 페니


포목상 마스터 길드 회원료 : 240 페니


부유한 농민 결혼 총비용 : 720~960 페니


부르주아 장례비용 : 1,680페니


하급 귀족용 황동 비석 : 1,920페니


향사(소지주) 결혼 지참금 : 160~15,840 페니


귀족 증서 : 30,000 페니


미트포드 주교의 장례비용 : 31,200 페니


대귀족의 청동상 : 96,000 페니


남작 결혼 지참금 : 240,000페니


워윅 백작의 장례비용 : 595,200 페니



부대 운용비


기사의 부대 3달 운용비 : 16,000~40,000 페니


소영주의 부대 3달 운용비 : 80,000~400,000 페니


대영주의 부대 3달 운용비 : 800,000~4,000,000 페니



영국 국가예산 (1307~1337년)


1)세입


기타세 : 480,000 페니


광산세 : 840,000 페니


직할령 수입 : 1,200,000 페니


관세 : 1,520,000~5,840,000 페니


병역 면제세 : 2,880,000 페니


일반세금 : 3,840,000 페니


10일조 : 4,440,000 페니


차관 : 2,880,000~4,800,000 페니


평화시 1년 예산 : 7,200,000~8,400,000 페니


전쟁시 1년 예산 : 12,000,000~19,200,000 페니



시간 나면 이것도 봐라

http://egloos.zum.com/lasuacasa/v/393743


그럼 난 변호사 보러 간다. ㅃ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