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말해두는데 나는 ㅈ무에서 캐릭터 스토리를 주로 본 사람이라서 다른 사람들은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음을 알림.


블아+남자 소재는 일단 비추먹고 드감

남학생 소재는 거기에 비추500배임


그도 그럴게 블아는 게임 자체가 미소녀 동물원에 가까운 여탕이라서 그럼.


.....여기까지 읽으면 블아 디스할 것 같아 보이지만 내가 표현할 말이 저거 말고 없어서 그러니까 좀만 설명을 들어보셂,,,,,,,





일단 작품 내에서 서술되는 남자 비스무레한 건 적 아니면 수인 아니면 성별 불명의 선생 뿐임. 그리고 대부분의 이벤트나 메인 스토리라인도 미소녀 동물원의 조건 중 하나인 "미소녀들이 일상을 보내는 내용"임


물론 일반적인 일상도 아니고 스토리도 사건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블아는 미소녀들과 선생이 주가 되고 그 소녀들과 선생이 일으키는 사건이 주요 스토리의 골자가 됨.


그 속에서 그나마 스토리에 참견하는 남자 비스무레한 캐릭터는 적 또는 무해한 게 아니면 단 한 명, 선생만 그 미소녀와 좋은 관계를 주고 받음.


근데 알다시피 선생은 플레이어의 분신임. 게임도 일부러 몰입하기 편하라고 성별도 불명으로 만들어놨음.

이런 상황에서 플레이어들은 자기 빼고는 미소녀 밖에 없는 스토리에 몰입을 하게 됨.


여기까지는 나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 할 거라고 생각하고 이제부터는 2가지로 구분하겠음.


남캐가 선생일 경우와


남캐가 학생일 경우로 나누어서 분석하겠음.




1. 남캐가 선생일 경우.


일단 남학생물에 비해 비추를 상당히 덜 먹음.


애초에 선생 자체가 성별불명에 외모 불명이어서 그걸 빼버려도 스토리에 위화감이 줄어들고, 그 속에서 선생의 캐릭터성이라고 할 만한 것만 적당히 지키면 욕도 덜 먹음.


걔 중에 그나마 비추를 주는 이유가 있다면 선생이 플레이어의 분신이라는 거임.


일단 패러디물인 시점에서 주요 독자층은 높은 확률로 게임의 플레이어일 거임.

그러면 이 플레이어이자 독자의 반응은 몇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1. 플레이어이지만 현재의 나는 독자다.


2. 플레이어이면서 독자다.


3. 나는 선생이다.


로 대강 나누어짐.


이 반응의 차이는 게임에 대한 몰입도로 인해 발생됨.


다들 게임하면서 어느 정도는 본인의 캐릭터에 몰입하기 마련임. 그리고 이 몰입도가 강해지면 게임을 더 재밌게 즐길 수 있지만, 대신 그 캐릭터에 대해 자기 나름의 해석이 상당히 강해지기 마련임.


때문에 1번의 경우는 자기와 분신인 선생을 거의 완벽히 분립한 상태로 보기 때문에 비추를 제일 덜 누름.


2번은 선생에 좀 몰입을 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그건 게임이라고 생각하기에 이 쪽도 좀 나음.


3번이 문제임.


좀 쌔게 말해서 나는 선생이다라고 표현했고, 이쪽도 분명 나름 게임과 현실의 선은 살아있음.


문제는 본인이 '선생'이라고 생각하는 이미지가 몰입도에 따라서 상당히 강해지는 선이 있는데, 이게 3번부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기 시작함.


때문에 캐릭터에 대한 해석에 대해서 많이 빡빡해지기도 하고, 심지어는 '선생'이 아닌 선생을 거부하는 경향성이 강해짐.


소재탭의 블아 크로스 오버 계통의 패러디는 죄다 비추가 1~2개 정도 있는 이유는 이런 캐릭터 해석에 대한 3번과 소재탭 장붕이의 차이가 큼.


말이 좀 세게 쓴 거 같은데 3줄 요약.


1. 남주가 선생인 경우는 독자의 선생에 대한 몰입도가 크게 영향.


2. 몰입을 얼마나하고 있느냐, 또 독자가 선생 캐릭터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반감의 크기가 달라짐.


3. 그래도 남주가 선생인 경우는 반감이 적음. 누가 게임에 그만큼 몰입을 해요.







2. 남캐가 학생일 경우.


비추가 ㅈㄴ 많이 먹힘.


이쪽도 대강 반응을 몇 가지로 나누면


1. 블아에 남캐가 들어가지 말라고 공식에서 말 안함 ㄱㅊ


2. 블아에 남캐는 좀... 메인에서도 안나왔는데


3. 블아에 남캐가 왜 나와 ㅅㅂ


정도로 나누어짐.


여기서 이제 다시 미소녀 동물원 얘기가 나오기 시작함. 


기본적으로 미소녀 동물원이라는 건 완전히 '남자'에 대한 작품 등장을 배제하고 여캐의 캐릭터성이 작품의 인기를 좌우하는 경향이 있음.


남캐가 작품에 등장하더라도 엑스트라 수준이다보니 당연지사 캐릭터는 여캐가 부각될 수 밖에 없음.



자, 다시 블아를 보면 남캐 비스무레한 건 적, 엑스트라인 수인이나 로봇, 선생 외에는 없음.


그 속에서 뜬끔없이 남캐가 추가되면? 그것도 남주라면?

당연히 추가된 오리지널 주인공을 기준으로 스토리가 변경됨.


문제는 블루 아카이브 스토리를 이끄는 양대 축인 여캐와 선생이 이 속에서 배제되어 버린다는 거임.


그럼 기존에 있던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어떻게 되는가.



1. 캐릭터 성에 손상이 발생함.


주요 여캐들과 캐릭터와 남주 캐릭터는 어떻게든 분명 상호작용할 거임. 그도 그럴게 패러디 물인걸?


하지만 이 속에서 여캐들은 더 이상 '주인공'이 아님.

남주가 주인공인 스토리이기에 당연히 남주의 행보에 그 스토리 속 움직임도 영향을 받음.


당연히 이에 따라서 캐릭터가 보여줄 만한 모습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미소녀 동물원이라는 표현만 봐도 알듯이 주요 캐릭터들이 다 여자고 다 중요한 일종의 군상극에 가까움


왠만한 작가로써는 얘네들이 움직이는 걸 다 상상해내기 힘들어서 어느 정도 편의적 전개를 하려고 할 거임.


하지만 그게 오히려 주요 캐릭터를 훼손 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역으로 인기에서 필살의 비추 대쉬 초당 16연타 먹는 거임.


작가의 역량이 뛰어나서 이걸 다 커버하면? 그러면 비추를 덜 먹는다고?





2. 더 이상 여캐 중심이 아닌 스토리 라인


다시 독자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얘네는 블아의 플레이어들임.


얘네가 보고 싶은 스토리가 뭘까? 당연히 원작 캐릭터의 스토리 라인임.

그럼 당연히 원작 캐릭터가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남주가 학생이면 남주 중심으로'만' 스토리가 진행되고 결국에는 원작 캐릭터는 들러리가 됨.-> 결론은 블아 플레이어들의 필살 비추 대쉬 초당 160연타~





3. 남주가 학생임->시발 또 하렘이야???


제일 큰 문제.


어느 부분이고 선생이 남주일 때랑 비교했을 때 달라지는 점은 어찌되었건 캐릭터에 선생이라는 입장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어느 정도 원작 캐릭터랑 벽을 둘 수 있는 심리적인 부분이 있는데 이게 무너지기 때문임.


예를 들어보면 실제로 선생과 학생이 연애를 하는 이야기를 생각해보라고 하면 이건 조금 힘들 수 밖에 없음.


왜냐하면 사회적 시선이 영 그렇거든. 그래서 소설이나 그런 데에서 나오더라도 금단의 사랑과 비슷한 벽을 세워버리지.


하지만 학생끼리의 연애는 어떨까?

작가랑 독자 모두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음. 심리적이고 사회통념적인 벽이 없다는 거임.


때문에 독자는 어쩔 수 없이 머리 한 구석에서는 두 캐릭터를 엮게 되는 거 아닌가에 대해서 상상하게 되고, 이는 실제 블아 스토리랑 연관지었을 때 1번으로 돌아가서 매우매우 큰 캐릭터 붕괴를 가져옴.


고로 독자들의 필살 비추 및 고로시 대쉬 1616연타 먹는 거임.





그러다보니 독자들 중에서 1번에 속하는 경우도 남학생물을 보다면 최애캐의 캐릭터 붕괴를 보고 비추 꾹 누르고 갈 수 밖에 없는 거임.


즉, 패러디 물 보고 탈주하는게 3->2->1 순으로 갈 뿐이지 이 빠지는 속도는 결국 선생물과는 차원이 다른 속도로 빠짐.



대강 남선생물은 로그함수를 그리고 끝난다면 남학생물은 지수 함수를 그림. 단지 남학생물은 초반 밑이 대강 100쯤 되어서 남선생물과 차이를 느끼기가 힘들 뿐임.


위 사진은 설마 로그함수랑 지수 함수를 모를까 싶지만 그래도 모를까봐 가져옴.





세 줄 요약하면


1. 원작 캐릭터가 중심이 안되는 서사-> 원작 캐릭터가 중심이 되길 바라는 독자. 비추1


2. 오리지널 주인공이 스토리를 이끄면서 생기는 캐릭터성 붕괴. 비추 8


3.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와 선생과 학생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벽의 붕괴, 그리고 그로 인한 독자들의 뇌내 분석<- 캐릭터성 이중 붕괴-> 비추 초당 16연타~




결론


간단하게 말하면 블아의 오리지널 주인공이나 타 작품 캐릭터가 추가되는 패러디물 자체가 블아의 인기 요인과 안 맞는 성향을 가졌다는 거임.


독자는 플레이어이다 보니까 원작 캐릭터의 다른 스토리를 보고 싶은 거지 오리지널 캐릭터가 이끄는 블아 세계관의 내용을 보고 싶은 게 아니라는 거지.


고로 패러디 물 쓰는 사람들은 이걸 잘 참고해서 되도록 원작 캐릭터를 살리는 방향으로 스토리를 가져와야 한다는 말읾,,,,,



그리고 마지막으로 쓸 말은.....






















https://arca.live/b/bluearchive/104514086


필살 장붕이의 도킹러쉬 16연타~


심심해서 분석글 쓰다보니까 시간이 살살 녹네


다음에는 그냥 소재글이나 떠올려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