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 아들이 학교 컴퓨터에 있는 Scratch(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축구 PK 게임을 처음 만들고는 신이 나 있더니


 


또 뭔가 새로 만들기 시작했는데 다른 프로그램을 덮어쓰기로 하는 바람에 지워지고 말았다.


 


얼마나 열심히 만들었는데…. 라며 눈에서 눈물을 뚝뚝 흘리며 절망상태.


 


다시는 프로그래밍 따위 안 해! 진짜 싫어!! 라며 얼굴을 새빨갛게 하며 대오열.


 


 


 


프로그래밍하다 보면 백업 제대로 안 해둬서 생기는 흔한 사고지만


 


저대로 두면 프로그래밍을 싫어하게 될 것 같아서 곧바로


 


`숙제 전부 나중에 해도 되니까 지금 당장 같은 걸 만들어봐! 분명히 처음보다 훨씬 빨리 만들어질걸.


 


오히려 더 나은 프로그램이 나올 거야! 분명히!`라고 했다.


 


 


 


싫어, 라고 하는 아들한테 이래 보여도 전직 프로그래머가 하는 말이니까 해봐


 


라니까 투덜거리며 만들기 시작하더니 15분 정도 뒤에


 


`어? 벌써 만들어졌다`라며 표정이 환해진 아들이 거기에 있었다.


 


 


 


`왠지 이전 거보다 더 좋아진 것 같으니까 엄마도 해봐!`라고 해서 같이 PK를 하며


 


`있잖아, 여기서 골! 이라고 문자로 띄우면?`이라는 등의 의견 교환을 하며


 


둘이서 꼼꼼히 분석하면서 업데이트를 해나가니 계속해서 좋은 아이디어가 자꾸 나오기 시작했다.


 


 


 


거기서 나는 다시 `저장은 제대로 했어? 백업 해뒀어? 라며 백업의 개념을 아들에게 인스톨.


 


`이제부턴 무슨 일이 생겨도 바로 전의 백업이 있으니까!`라며 곧바로 다음 게임도 만들기 시작한 모양.


 


그 후 숙제도 제대로 마치고 준비를 끝냈다.


 


 


 


다음 게임은 화면 안을 움직이는 볼을 피하는 게임.


 


아들이 `오늘 지워버린 충격 완전히 사라졌어!`라고 했다.


 


 


 


실패의 경험은, 거기서 재빨리 수습하는 경험을 익혀두면 오히려 도움이 된다.


 


아들이 벽 하나를 넘는 순간이었다.


 


엄마는 기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