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주의

이 글은 많은 글과 많은 영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기체가 가지고 있는 스펙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스펙에 대한 설명하기 전에 앞서 커스터마이징 창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기체 커스터마이징 창을 보면 이런 창이 뜨게 되는데


각 창에 대한 정보는 이렇게 되는데, 오늘은 [기체 스펙]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겠다.


(주의, 해당 부분들의 명칭은 공식적인 명칭이 아닌 부분도 존재하니, 해당 부분은 고려해줬으면 한다.)

기체를 영역 별로 묶어서 설명하면 총 4개의 영역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


[기체 자체 정보]



이름예시정보에 대한 설명
기체 명짐 트레이너현재 플레이어가 선택한 기체의 명칭
기체 레벨LV 1현재 플레이어가 선택한 기체의 레벨 (LV 1 상승 시, COST + 50)
COST100기체의 COST( = 격추 점수)
출격 가능 지역
지상 / 우주지상 및 우주에 출격 가능 여부(비활성화 시, 해당 지역 사용 불가능)
기체의 분류범용기체의 3분류(강습, 범용, 지원)
격투 판정력2격투 무장의 판정 우선순위
재출격 시간5기체가 파괴되고 재 스폰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출격 횟수1회플레이어 계정에서 해당 기체로 출격한 전체 횟수
환경 적정X기체가 원활하게 활동이 가능한 환경
회소도1성기체가 가지고 있는 희소 등급
DP 교환 조건현재 교환 불가상점에서 DP 교환에 필요한 조건(계급, DP비용)

(격투 판정력의 경우 추후 격투 무기 설명을 할 때, 설명을 진행)

게임을 진행할려면, COST와 출격 가능 지역을 확인해야한다.


게임을 할려고 보면 이런 식으로COST / 인원 / 매치 방식 / 맵 / 지역이 출력된다. 


모든 기체는 자신이 출격 가능한 지역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레이팅 매칭]에 경우에는 요구하는 COST만 가능하며(ex. COST350이면 350 기체만 가능)

[퀵 매칭]에 경우에는 요구하는 COST-100까지 가능하지만, 요구 COST기체 탈 것(ex. COST 600이면 500 기체까지 가능)


환경 적정에는 [지상] [우주] [수중] 총 3가지가 존재하는데, 환경 적정 지역에서는 기체가 버프를 얻는다.

(해당 부분은 https://arca.live/b/gbo2/48575953 글에서 F. 환경 적정이 정리가 잘 되었으니 해당 부분을 보면 좋겠다.)

-----------------------------------------------------------------------------------------


[기체 내구도 정보]

이름예시최대 수치정보에 대한 설명
기체 HP6750없음기체 자체의 내구도, 체력
내실탄 보정250실탄 계열 무기에 대한 방어력
내빔 보정
250빔 계열 무기에 대한 방어력
내격투 보정
250격투 무기에 대한 방어력
머리 부위 내구도기체 HP의 45%
(파츠 설명 기준)
75%기체 머리 부위에 대한 내구도, 체력
다리 부위 내구도(지상)기체 HP의 60%
(파츠 설명 기준)
90%기체 다리 부위에 대한 내구도, 체력
등 부위 내구도(우주)
기체 HP의 30%
(파츠 설명 기준)
70%기체 등 부위에 대한 내구도, 체력

단순하게 모든 내(실탄,빔,격투)보정 수치들은 높을수록 받는 피해량은 저하된다.


다만, 이 게임에는 [실탄], [빔], [격투] 총 3가지 계열이 존재한다.

실탄 계열 무기 = 내실탄 보정 / 빔 계열 무기 = 내빔 보정 / 격투 계열 무기 = 내격투 보정 이 성립되기에 

즉, 내빔 보정이 높다고 해도, 상대의 실탄 계열 무기 피해량은 줄여주지 않는다.


COST별로 주로 사용하는 무장들이 어느 정도 비슷하기에, 

기체의 COST에 따라 커스텀 파츠를 적절하게 분배해야 한다.

또한 인게임에는 [머리], [다리] / [등] 내구도 수치가 존재하며 피해를 입게 되면,


·머리 : 손상도가 50%를 넘어갔을 경우(레이더에 노이즈가 발생하며, 레이더 반경이 줄어든다), 

파괴되었을 경우 (사격/격투 능력 저하, 레이더 사용불가, 스코프 사용불가, 시야에 노이즈가 발생, 특정 스킬 사용불가)


·다리 : 다리 부하 허용치가 줄어든다, 허용치 이상의 부담이 가해졌을 경우(고속이동, 착지로 발생) 다운 상태가 된다(이 다운의 경우 슈퍼아머 적용없음), 다리가 파괴되었을 경우 스피드가 대폭 저하, 선회능력 저하, 고속이동, 착지로 다리 부담 가중시 다운 상태가 됨.

[공략/팁] GBO2 A to Z 기초편①조작법부터 전투의 기본지식까지

(출처: https://bbs.ruliweb.com/game/80461/read/9433479 해당 글에서 정보를 가져왔음)

-----------------------------------------------------------------------------------------


[기체 공격 정보]

이름예시최대 수치정보에 대한 설명
사격 보정
10100사격 무장[빔, 실탄 계열 무기]들에 대한 피해량
격투 보정0100격투 무장{격투 계열 무기]들에 대한 피해량

단순하게 모든 (사격, 격투)보정 수치들은 높을수록 주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즉, 사격 피해량은 사격 보정 수치를 올리면 되고, 격투 피해량은 격투 보정 수치를 올리면 된다.

사격 피해량이 그대로 전달될려면, 내(실탄, 빔, 격투)보정 + 5 = (사격, 격투)보정 값

예시로, 내 실탄 보정이 20이면, 사격 보정이 25면 피해량이 무기 수치 그대로 전달된다.


(해당 부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다른 글로 정리해서 링크 달아둠)

-----------------------------------------------------------------------------------------


[기체 이동 관련 정보]


이름예시최대 수치정보에 대한 설명
스피드115+5기체가 걷는 속도
고속 이동160???기체가 슬러스터를 사용할 때의 속도
슬러스터
50100기체의 사용 가능한 슬러스터 수치(스테미나) 
선회
45???기체가 회전하는 속도

(해당 부분에서 최대 수치는 솔직히 잘 몰라서 ???는 모르는 거임, 해당 부분은 죄송)


스피드 파츠가 있는 오른쪽 기체가 더 빨리 끝에 도달하는게 보인다.


슬러스터 양에 따라 부스터를 더 오래 유지하며,(슬러스터 비교 영상이 좀 불편하게 편집되긴 했는데..)


고속이동 수치에 따라, 속도 차이도 보인다.


선회 비교 영상을 보면, 파츠를 끼고 있는 오른쪽이 다리 움직임이 더 빠르다.

-----------------------------------------------------------------------------------------

(해당 부분은 진짜로 뇌피셜로 적는거라 댓글에 수정사항 달아주세요)

마지막으로 이 게임에는 기체의 분류로 [강습] [범용] [지원] 3가지가 존재한다.


[강습] [범용] [지원] 3개의 기체는 가위바위보 구조로 피해가 상성 역상성을 띄고 있다.

상성에는 + 30% 피해를, 역상성에는 -20% 피해를 주게 된다.


[강습]

근접전에 뛰어난 기체로, 평균적으로 [격투 보정 수치]가 높으며 [격투 판정력]이 3이다.

내(실탄, 빔, 격투)보정이 고르지가 않지만, 평균적으로 [이동 관련]수치가 높으며, [지원]에는 상성, [범용]에는 역상성이다.

따라서 어 스킬 및 빠른 이동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전선을 파고들거나,지원기 처리를 통해 전선의 붕괴를 유도

아군들이 전선 형성에 우위를 점하게 하거나, 상대의 화력(지원)을 억제한다.

단점으로, 너무 독단적으로 행동하거나, 치고 빠지기를 잘못 할 경우, 범용기에게 빠르게 물릴 수 있으며,

또한 근접전이 위주인 만큼 기체의 연습 난이도가 필요하다.


[범용]

이름대로 범용성이 좋은 기체로, 스탯들이 평균적으로 골고루이며, [격투 판정력]이 2이며, [강습]에는 상성, [지원]에는 역상성이다.

따라서 평균적인 스탯 및 사격과 근접을 바탕으로 전선을 유지하면서 상대를 지속적으로 압박을 하며,

형성된 전선을 바탕으로 상대 강습기로부터 지원기를 보호해 지속적인 화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단점으로, 범용이라는 특성 상, 잘할 경우에는 만능이지만, 못할 경우에는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경우가 되버린다.

또한 항상 전선 및 아군들에 대해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체 난이도보다 게임의 이해도가 높아야한다. 


[지원]

화력 및 사격전에 뛰어난 기체로, 평균적으로 사격 보정이 낮으며 [격투 판정력]이 1이다.

내(실탄, 빔)보정은 높으나 내격투 보정은 낮으며, 방어 스킬이 없거나 적다. [범용]에는 상성, [강습]에는 역상성이다.

따라서 강한 화력으로 상대에게 사격전를 통해 전선의 붕괴 및 압박

아군 기체들의 전선 형성 및 압박에 지원을 준다.

단점으로, 강한 화력이라는 특성 때문에 한 자리에서 자리 잡거나, 아군에게 멀리서 딜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 강습에게 물렸을 때, 도망치는게 힘들며, 아군들이 백업해주기도 힘들어 게임이 전체적으로 힘들어 질 수도 있다.

또한 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에임 문제 및 아군에게 맞췄을때 발생하는 경직으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각 [강습] [범용] [지원]에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더욱 복잡하다.

강습기가 사격전이 더 좋은 경우가 있으며, 범용이 사격전에 몰빵된 경우도 있으며,

지원기가 튼튼하며 칼도 치는 경우가 존재한다.


해당 부분은 기체에 대해 본인이 이해하고 게임을 하고 정보를 찾으면서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