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요약(?)한 크로아티아어 문법 개념들 4>


<1. 형용사>

형용사 역시 동사처럼 어미 변화를 한다.

Ex) žedan sam(1인칭 남성) / žedna sam(1인칭 여성) 나는 목이 마르다

형용사가 수식하는 단어가 남성일 경우 자음으로, 여성일 경우 -a로, 중성일 경우 -o로 끝난다.

하지만 특정 자음들 뒤에서는 -o 대신 -e가 붙는데, 이 자음들을 ‘연자음(Soft Constants)’라고 한다.

{ 연자음 : c, č, ć, dž, đ, j, lj, nj, š, ž }

참고로, 마지막 두 자음 사이에 a가 끼어있으면 그 a는 어미 변화시에 사라진다.

Ex) 의미 - 남성형 - 여성형 - 중성형

좋은 - dobar - dobra - dobro

목마른 - žedan - žedna - žedno

배고픈 - gladan - gladna - gladno

나의(소유형용사) - moj - moja - moje


<2. 소유형용사(2)>

2인칭 단수대명사 ti와 1인칭 복수대명사 mi의 소유형용사는 아래와 같다.

tvoj 너의(ti의 소유형용사) / naš 우리의(mi의 소유형용사)

Ex) Ovo je moja kava. 이건 제 커피입니다. / Ovo je tvoje pivo. 이건 네 맥주야.

Ovo je naš grad. 여긴 우리의 도시입니다. / Ovo je vaša žena. 여긴 당신의 아내입니다.


<3. 전치사 In/to>

크로아티아어에서는 영어에서의 in와 to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전치사 u가 존재한다.

전치사 u가 in으로 쓰일 때와 to로 쓰일 때를 구별하는 방법은 바로 ‘어미’이다.

Ex) idem u grad. 시내로 갈 겁니다. / Ja sam u gradu. 전 시내에 있습니다.

Idem u školu. 학교로 갈 겁니다. / Ja sam u školi. 전 학교에 있습니다.

‘~로’란 의미로 쓰였을 때엔 to, ‘~에’란 의미로 쓰였을 때엔 in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런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u는 뒤에 오는 명사의 격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전치사이기 때문이다.

u같은 경우에는 뒤에 목적격 명사가 오느냐, 아니면 수여격 명사가 오느냐에 따라 의미가 변화한다.

(참고로 크로아티아어에서 수여격과 처소격은 그 어미가 통합되어 하나로 사용된다.)

아래의 단어들을 참고하자.

Ex) 단어 - 목적격(acc.) - 수여격(dat.)

남성명사 grad - grad(변화없음) - gradu(어미 u)

여성명사 škola - školu(a -> u) - školi(a -> i)

중성명사 predgrađe - predgrađe(변화없음) - predgrađu(e, o -> u)

요약하면, u 뒤의 목적격은 운동 상태(to)를, 수여격은 정지 상태(in)를 의미한다.

아래의 예시 문장들을 참고하자.

Ex) Da li žiliš u Londonu? 너 런던에 살고 있니? (남성명사 London)

Idemo u London. 우린 런던으로 갈 겁니다.

Ne idem u kavanu. 전 카페에 가지 않을 겁니다. (여성명사 kavana)

Mi smo u kavani. 우리는 카페에 있습니다.

Idete li u predgrađe? 당신은 교외에 가실 겁니까? (중성명사 predgrađe)

Nisam u predgrađu. 전 교외에 있지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크로아티아어에는 ‘어디’를 의미하는 의문사가 2개가 존재한다.

Gdje živite? 어디에 살고 있으신가요? / Kamo idete? 어디로 가실 건가요?

Gdje는 무언가가 ‘어디에’ 있는지 묻는 의문사이고, Kamo는 무언가가 ‘어딜’ 향하는지를 묻는 의문사이다.

Gdje 의문문에 답할 때는 수여격 문장을, Kamo 의문문에 답할 때는 목적격 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4. To를 다른 방식으로 말하는 방법>

‘na posao’에서처럼 na 역시 to의 역할을 할 수 있다.

Ex) Idem na posao. 저는 일하러 갑니다. (남성명사 posao)

na는 일반적으로 영어의 ‘on’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우체국, 역 등 ‘on’과 같이 쓰지 않는 단어들과도

함께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Ex) Ja sam na pošti. 전 우체국에 있습니다. (여성명사 pošta)

Idem na kolodvor. 전 기차역으로 갈 겁니다. (남성명사 kolodvor)

Ideme na kavu. 우린 커피마시러 갈 겁니다. (여성명사 kava)

Ideš li na pivo? 맥주 마시러 갈래? (중성명사 pivo)

u에서와 똑같이, na 뒤의 목적격은 운동상태를, 수여격은 정지상태를 의미한다.


<5. 특이한 명사들>

어느 언어에서나 그렇듯, 크로아티아어에서도 명사 변화 규칙 밖의 명사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일, 직업’을 의미하는 명사 posao인데, 이 명사는 o로 끝나지만 남성명사이다.

그 이유는 과거 posao의 o는 l이었는데 이것이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모음화된 것이다.

하지만 posao가 어미 변화를 하면 o가 없어지고 l이 부활한다.

또한, posao의 a 역시 앞의 사례들(ex : dobar, žedan)처럼 어미 변화를 하면 소멸한다.

Ex) 목적격 : posao / 수여격 : poslu


그럼, Doviđenja!


언알못이라서 틀린점이 많을 수 있습니다! 지적사항은 언제나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