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트라사이클린류(Tetracyclines)

- 데메클로사이클린

- 독시사이클린

- 미노사이클린

- 테트라사이클린


작용기전

수동적 확산 및 에너지 의존성 수송 단백기전→감수성 균에 침입해 세균 내측 세포막으로 진입→감수성균 세포내 농축→약물이 세균 리보솜 30S 아단위에 가역적 결합→tRNA가 mRNA-리보솜 복합체로 결합하는 것을 차단

∴ 세균의 단백질 합성 억제


향균범위

정균성 항생제, 그람양성 및 음성세균, 프로토조아, 스피로케테스, 마이코박테리아 등 광범위 세균에 효과

일반적으로 여드름 및 클라미디아 감염에 사용


내성

세포밖으로 약물을 축출시키는 유출펌프가 통상 자연적 발생, 따라서 세포내 약물축적 억제, 약물 효소적 불활성화, 테트라사이클린의 리보솜결합을 차단하는 세균단백질 생산

+ 한가지 테트라사이클린에 내성이 생겼다고 모든 테트라사이클린에 내성 부여 X


약동학

기본적으로 경구투여. 유제품·2,3가 양이온 함유물질과 함께 투여되면 테트라사이클린의 흡수가 감소.

독시사이클린과 미노사이클린은 경구·IV투여 가능


간, 콩팥, 담즙, 잇몸액, 피부 농축+조직결합으로 치아 및 뼈에 석회화, 고칼슘양상 종양에 결합. 독시사이클린, 미코사이클린은 뇌척수액에서 치료농도 도달. 모든 테트라사이클린은 태반장벽을 통과할 수 있고 태아의 뼈와 치아에 축적됨


부작용

1. 위점막 자극으로 상복부 위불쾌감→공복시 투여

2. 석회화→소아에게서 테트라사이클린 사용 제한 고려

3. 드물게 임신부, 간기능장애, 신장손상 환자에게서 간독성

4. 자외선노출시 화상 발생 가능. 모든 테트라사이클린류에서 일어나나 주로 테트라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에서 자주 발생→적절한 자외선 보호조치가 권고됨

5. 현훈, 현기, 이명 등. 귀의 내림프(endolymph)에 축척되어 영향을 미침

6. 가성뇌종양. 양성 두개내 고혈압과 드물게 시야흐림. 복용중지시 가역적 상태회복이 가능하지만 영구적 후유증에 대해서는 연구부족

7. 소아에게 축적과 간독성 우려로 임신부, 수유부, 8세 이하 소아에게 사용금지


까지 쓰고 자러감


글리실사이클린 아미노배당체 마크로라이드 케톨라이드 피닥소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클린다마이신 퀴누프리스틴 달포프리스틴 옥사졸리디논은 내일 쓸 수도 있고 안쓸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