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pps.autodesk.com/MAYA/en/Detail/Index?id=8637238041954239715&appLang=en&os=Win64&autostart=true
실무에서나 집에서나 어딘가에서 무료 에셋같은거 받다가 악성 코드가 감염될 수도 있다.
파일 자체가 오염되며 설정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다른 파일에도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내가 직접 오염된 파일 불러와서 캡쳐해봄)

# Warning: 你的文件贼健康~我就说一声没有别的意思 # 
일명 중국어 오류. 저장할때마다 이 스크립트가 뜨고 저장이 안되며 튕기는 경우가 많아진다. 나도 많이 당해봤다.

특히 오염된 파일을 저장하면 다른 파일을 열 때나 새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할 때도 이 스크립트가 오염된다.
(저게 뭐라는지 정확힌 모르는데 번역기돌려보면 [당신의 서류는 건강합니다~다른 뜻은 없다고 하겠습니다] 라면서 티배깅하는 내용인거같음...)
저기 들어가서 로그인 후 다운하고 인스톨하고 마야를 실행시켜서



windows - settings/preferences - plug-in manager
플러그인 매니저를 열어서 밑으로 내리면 마야스캐너가 나온다. apply to all 두개 체크하고 refresh해서 마야에 적용시킨다.

잘 적용되면 파일탭 밑에 스캔이란 기능이 생긴다. 

스캔 파일은 파일을 골라서 오염된 파일을 스캔하는거고, 밑에있는건 현재 열려있는 파일을 스캔하는 거다.


scan current scene를 해서 열려있는 오염된 파일을 체크하면 이런 창이 뜬다. 

yes 누른다음 현재 파일을 정리하고 저장 후 나갈지, 저장하지 않고 나갈지를 정한다.

이렇게 사용하고 마야를 새로 열면 마야스캐너는 다시 꺼진다.

조취를 취한 다음, 내 pc - 문서 - maya - script를 가보면 

오염된 파일 스크립트를 마야스캐너가 잡은 문서파일을 발견할 수 있을거다.

파일을 지운 후, 건강한 파일로 돌아와 작업을 이어나가면 된다. 

뭔가 찝찝하면  내 pc - 문서 - maya - (마야 버전년도) - prefs 안에 있는 파일들 전부 지워서 

마야 전체 설정 초기화도 한번 고려해보자.


주의점을 본 적이 있는데, 마야를 실행 후 flie - open scene로 오염된 파일을 연 후에 스캐너를 실행시켜야 한다.
파일 스캐너에서 오염된 씬을 직접 열면 스캐너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스캐너를 적용시킨 후에 오류가 있는 파일을 import하거나 reference 파일을 불러오면 반드시 저장하고 종료된다.

파일을 불러오는 도중 악성코드를 검사하고 불러오기가 멈추며, 저장하면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덮어씌워질 수 있다.

그래서 악성 코드 오염이 의심될 경우, scan flie을 사용해서 미리 검사 후에 조치하는 편이 좋다. 평소에는 꺼두는 편이 좋다.


건강한 파일로 작업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