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로스트아크처럼 DX9->DX11로 전환했거나 나온지 오래된 DX11게임들, 친 지포스 게임들혹은 RT사용시

130만원

1.고전게임의경우 CPU빨을 많이 받는 게임들이 대부분이고 그외 업글시 불편함이 있기에 5600등은 부적합하다고 판단.

2.제대로 된 방열판과 디자인을 갖춘 B650(M)보드들중 가장 저렴.

3.고전게임의경우 램빨도 많이 받기에 6400 CL32 채택, 운이 안좋거나 안전하게 가고싶은경우 6000 CL30으로 교체.

4.AS가 평타이상인 제조사들의 4060들중 가장 저렴.

5.큰 이슈가 없고 디램도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

6.꽤 널리쓰이고 별 문제가 없는 보급형 케이스.

7.예산때문에 600W를 넣었으나 유명제조사에 4060이라 여유있음.

8.D21등을 넣으려했으나 절약하고자 채택, 타 2만원대 싱글타워도 가능.

150만원

1.고전게임의경우 CPU빨을 많이 받는 게임들이 대부분이고 그외 업글시 불편함이 있기에 5600등은 부적합하다고 판단.

2.제대로 된 방열판과 디자인을 갖춘 B650(M)보드들중 2번째로 저렴하고 ASUS보드 오너들만의 혜택등이 있으며 유틸이 잘 갖춰진편.

3.고전게임의 경우 램빨도 많이 받기에 6400 CL32 채택, 운이 안좋거나 안전하게 가고싶은경우 6000 CL30으로 교체.

4.메이저 제조사들의 4060Ti들중 가장 저렴.

5.큰 이슈가 없고 디램도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

6.꽤 널리쓰이고 별 문제가 없는 보급형 케이스.

7.메이저 제조사의 800W파워.

8.D21등을 넣으려했으나 절약하고자 채택, 타 2만원대 싱글타워도 가능.

180만원, 본격적인 QHD

1.고전게임의경우 CPU빨을 많이 받는 게임들이 대부분이고 그외 업글시 불편함이 있기에 5600등은 부적합하다고 판단.

2.제대로 된 방열판과 디자인을 갖춘 B650(M)보드들중 2번째로 저렴하고 ASUS보드 오너들만의 혜택등이 있으며 유틸이 잘 갖춰진편.

3.예산이슈로 램을 다운그레이드, 일부주차에서만 문제가 있었기에 흑금치들중 가장 저렴한 마이크론 램 채택

4.AS가 평타이상인 제조사들의 4060들중 가장 저렴.

5.큰 이슈가 없고 디램도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

6.꽤 널리쓰이고 별 문제가 없는 보급형 케이스.

7.예산때문에 600W를 넣었으나 유명제조사에 4060이라 여유있음.

8.D21등을 넣으려했으나 절약하고자 채택, 타 2만원대 싱글타워도 가능.

200만원, 250만원, 300만원및 최근에 나온 DX11혹은 DX12나 Vulkan게임용및 RT미사용시 견적은 나중에